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 혁신속도전으로 무장한 중국, 머지않아 한국 따라잡을 것”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우리가 반도체 부품 분야 기술에 있어 중국보다 3~4년 앞서 있다고들 말하죠. 하지만 중국에 따라잡히는 건 시간문제라고 봅니다. 중국이 이 분야 인재란 인재는 모두 싹쓸이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다가 우리는 제도적인 지원이 부족하고, 구시대적인 기업문화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거든요”

울산의 A 반도체부품 회사는 “중국의 속도전이 상상을 초월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혁신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대로라면 혁신환경이 좋은 중국, 인도에 4~5년 후면 밀릴 것 같습니다”

항공기 및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인 B사는 ”정부가 기업혁신을 끌어내야 한다“며 제도 지원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혁신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면서도 속도를 따라가는데 숨가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의 ‘혁신 유통기한’ 이 20여년 전인 1990년대에 비해 4.7배나 빨라졌다고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몇 개월동안 신제품 개발 등 혁신활동을 하지 못하면 기업이 살아남을 수 없다고 보는가’라는 물음에 기업들은 평균 39.7개월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은 또 ‘1990년대와 비교해 귀 산업이 얼마나 빨라졌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평균 4.7배라고 응답했다.

혁신을 위한 사회적 분담비율은 기업, 정부, 학계, 국회가 각각 6:2:1:1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혁신을 하는데 있어 각 경제주체들의 비중을 백분율로 적어달라’는 질문에 기업이 57.5%, 정부 22.3%, 학계 11.7%, 국회 8.5%였다. 기업의 변화노력이 중요하다는 말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기업들의 97.5%는 ‘경제가 아무리 어려워도 혁신을 위한 투자를 줄여서는 안된다’는데 동의했다.

정부의 혁신정책 중 효과적이었던 정책을 복수응답해 달라는 질문에는 ‘혁신을 위한 자금지원‘(44.3%)이란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미래신산업 성장 기반 구축’(43.3%), ‘실패 기업인의 재도전 지원’(27.7%) 순으로 대답이 나왔다.

이밖에 ‘창조경제 혁신센터’(21%), ‘융복합 인재육성’(21%), ‘벤처,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17.7%), ‘공공연구 기반 창업 확대’ (17%)순으로 조사됐다.

신현한 연세대 교수는 “미국은 오래전부터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을 해왔고 중국은 규제 걸림돌이 많지 않아 무엇이든 시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우리기업 혁신의 가장 큰 걸림돌은 정해진 것만 할 수 있는 포지티브 규제시스템, 구시대적인 기업문화”라고 진단했다.

정부정책의 한계를 묻는 질문에는 ‘단기실적, 성과에만 초점을 맞추려 한다’(62.3%), ‘특정분야에 지원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32.0%), ‘정책홍보가 부족해 지원정책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잦다’(30.7%) 등을 지적하는 대답이 많았다.

경남의 한 조선기자재 업체는 “조선 관련업종은 연구개발기간이 길어 착수단계 자금지원만으로는 소기의 성과를 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단기실적에 치우치기 보다는 제품양산단계까지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이번 조사에서 한 엘리베이터 업체는 최고의 혁신 경쟁자를 꼽아달라는 물음에 이례적으로 ‘구글’을 꼽았는데, 우주 엘리베이터와 같은 신산업 프로젝트를 통해 구글이 미래의 경쟁자가 될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었다”며 “앞으로의 혁신경쟁은 업종이나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무제한적으로 이뤄질것 같다”고 전망했다. 이 부회장은 “기업들은 기업대로 파괴적인 혁신에 나서야 하고, 정부는 긴호흡으로 멀리 내다보는 지원정책을 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엘빈토플러는 ‘혁신속도론’을 통해 “기업이 100마일로 달릴 때 제도는 30마일로 움직인다”고 말한바 있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