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비대위, 11명 규모로 결론…내부위원 ‘친박’ 우세 속 유승민 복당 불투명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새누리당의 쇄신을 책임질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총 11명 규모로 꾸려질 방침이다. 김희옥 비대위원장 내정자(전 헌법재판소 재판관)와 정진석 원내대표ㆍ김광림 정책위의장ㆍ홍문표 사무총장 권한대행 등이 당연직으로 포함될 것을 감안하면, 당 내부 인사에게 돌아가는 몫은 단 2명뿐이다.

결국 친박(親박근혜)계가 내부 비대위원직을 대부분 점령한 가운데, 유승민 무소속 의원 등 탈당파의 복당 여부가 불투명해 질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앞서 김 내정자는 ▷위원장을 제외한 비대위원 절반을 외부인사로 채울 것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비대위 총원은 홀수를 유지할 것이라는 원칙을 제시한 바 있다.

김희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내정자(오른쪽)와 정진석 원내대표가 지난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새누리당 원내대표 회의실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민경욱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31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대위 총원은 위원장을 포함해 모두 11명으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위원장을 제외한 10명의 당 내부인사와 당 외부인사 비율은 50대 50을 원칙으로 할 것”이라며 “당내인사에는 당연직 위원인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사무총장이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향후 비대위원으로 추가 선임될 새누리당 내부인사는 단 2명에 그칠 것이라는 이야기다. 비대위원 인선을 두고 친박계와 비박계의 알력 다툼이 극심한 것을 감안하면 김 내정자는 각 계파에서 1명씩의 비대위원을 고르게 차출, 기계적 균형을 맞출 공산이 크다. 비대위 내부위원 5명 중 3명이 친박계 인사로 채워지는 셈이다.

정 원내대표는 앞선 당내 경선 과정에서 ‘친박계의 조직적인 지원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은 바 있고, 김 정책위의장은 새누리당의 텃밭인 경상북도 지역에서 3선 고지를 달성한 ‘대표 친박’이다. 당연직 비대위원 중 비박계는 4ㆍ13 총선 후보자 공천 과정에서 김무성 전 대표 편에 섰던 홍 사무총장 권항대행 밖에는 없다.

이처럼 친박계가 비대위 내부위원 자리를 점령하면서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의 ‘학살’에 반발, 탈당을 선택한 비박계 인사들의 복당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오는 2일 전 윤곽이 드러날 외부위원들의 성향에 따라 기류가 달라질 수도 있지만, 현재 비대위 권력구도 아래서는 이들의 복당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지난달 언론사 편집ㆍ보도국장 간담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다시 한 번 유 의원의 복당 불가 방침을 선언, 친박계의 결집력이 강해졌다”며 “어떻게든 유 의원의 복당만은 막으려는 그들의 의중이 관철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