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온실가스, 에너지新산업이 해답 上] ‘CO2 배출 세계 6위’ 한국, 기후변화 막으려면 ‘석탄발전↓ㆍ열병합↑’
온실가스 감축 압력 큰 한국, 에너지 효율 높고 비교적 친환경적인 열병합발전 늘려야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최근 세계 곳곳에서 폭염과 가뭄 등 이상기온 소식이 잦아지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때문이다. 한국 역시 연평균 기온과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지금부터 30년 후인 2036년에는 한국의 폭염 사망자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란 우울한 전망도 있다.

주범은 온실가스(CO2)다. 전 세계가 온실가스 저감 노력을 하고 있고, 한국은 그 가운데서도 감축 압력이 매우 높은 국가에 속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1인당 CO2 배출량이 1990년 10.29톤에서 2013년9.55톤으로 7.2% 감소한 반면 한국은 같은 기간 5.41톤 에서 11.39톤으로 두배 이상 늘었다. 한국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 순위는 OECD 국가들 가운데 미국, 러시아, 일본, 독일 등에 이어 세계 6위(2013년 기준)다.



다급해진 한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앞두고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37%를 감축하겠다는 세계 최고 수준의 목표를 세웠다.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곳은 어디일까. 지난해 말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내놓은 ‘2015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기준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87%가 에너지 분야에서 배출됐고, 그 중 절반 가량(45.7%)은 발전 관련 에너지산업(연간 2억7400만t CO2eq)이 차지했다. 발전 산업이 내뿜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3분의 2가 넘는 68%(1억8700만톤CO2eq)는 석탄발전의 차지였다.

산업부는 지난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석탄발전인 영흥 7ㆍ8호기와 동부 하슬라 1ㆍ2호기의 신규 진입을 철회했다. 석탄발전을 줄이지 않고 온실가스를 줄일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또 신재생에너지 확대, 스마트그리드 도입 등을 온실가스 저감 수단으로 발표했다.

그러나 발전 업계를 중심으로 정부의 대책이 이상적이어서 실용화 단계에 이르려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이에 분산형전력자원인 집단에너지 시설, 열병합발전(CHP)의 확대가 현실적 대안이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열병합발전이란 전기만 생산하는 일반 발전과 달리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구조다. 발전 과정에서 나오는 폐열을 버리지 않고 공급하기 때문에 에너지 이용효율이 일반 발전 대비 30% 이상 높다.

특히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고체 연료 사용이 제한돼있는 수도권 지역에서는 열병합발전소가 친환경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천연가스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석탄의 절반에 불과한 발전 연료다.

한국전기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집단에너지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력시장 제도개선 및 지원방안 연구’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집단에너지가 분산형 전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얻는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편익은 연간 369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열병합발전의 경제적 효과는 더 크다. 연구에 따르면 일반 발전에 비해 송배전설비를 덜 짓게 돼 얻는 편익(4425억원), 장거리 송전에 의한 전력손실 저감 편익(2071억원), 송전혼잡을 피함으로써 얻는 편익(1588억원) 등 효과가 연간 8000억원 수준에 달한다.

독일과 영국, 덴마크 등 유럽 선진국들이 에너지 효율 제고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열병합발전에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