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제전문가 70% “한국 장기 저성장 국면 진입했다”...“구조개혁이 돌파구”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경제전문가 10명 중 7명은 우리 경제가 이미 장기 저성장에 돌입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10명 중 8명은 저성장 원인이 경제체력의 근본적인 약화 때문이라고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5일 최근 경제전문가 61명을 대상으로 ‘우리경제 현주소 평가 및 대책’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경제전문가 10명 중 7명은 이미 장기 저성장에 돌입했다고 답했다. “조만간 빠져들 가능성이 있다”까지 포함하면 장기 저성장을 전망하는 전문가가 96.7%에 달한다. 

‘2011년부터 지속돼 온 2~3% 성장의 원인으로 10명 중 8명이 ’경제체력의 근본적 약화‘을 지목했다. ’세계경기 부진에 따른 일시적 현상(4.9%)‘ 또는 ’경제성숙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16.4%)’이란 의견은 일부에 그쳤다.

우리경제가 직면한 최대의 위기로 전문가들의 44.3%가 ‘경제시스템 개혁 지연’을 꼽았다. 규제철폐, 노동개혁 등이 미뤄짐에 따라 경제 전반적으로 효율성이 낮아지고, 경제활력이 떨어진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다음으로 ‘한중기업 경쟁력 격차 축소’가 23.0%로 나왔다.

‘소득불균형’(9.8%), ‘민간소비 부진’(9.8%), ‘금융시장 불확실성’(2.4%)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기업의 위기요인으로 ‘신산업 개발 부진’(40.2%), ‘핵심기술 역량 미비’(38.5%)를 지목했다. 중국기업의 추격이 거센 상황에서 신산업, 핵심역량 개발을 통해 독자적인 경쟁력 개발 및 차별화가 시급하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세계경기가 회복되면 우리경제가 예년의 성장세를 회복할 수 있을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복귀가 어렵다는 평가가 90.2%로 지배적이었다. 복귀 가능하다는 의견은 9.8%에 그쳤다.

‘2013년부터 매년 이어진 정부의 추경 또는 내수활성화 정책의 성격을 묻는 질문에 대해 경제전문가의 10명 중 9명은 ’임시방편적‘ 또는 ’단편적‘이라고 답했다. ’시의적절‘ 또는 ’혁신적‘이라는 응답은 각각 4.9%, 1.7%에 그쳤다.

’체계적‘이라고 답한 이는 없었다. 앞서 우리경제가 직면한 위기가 구조적, 장기적인 성격인데 정부가 단기적인 대책에 중점을 둔다는 비판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가 경제체력을 제고하고 저성장을 극복하려면, 정부는 ‘신산업‧신직업 창출 및 구조개혁’(86.9%)에, 기업은 ‘핵심역량 개발 및 사업재편’(98.4%)에 역점을 둬야 한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타성화된 단기-임시방편적 정책관행을 버리고, 진정성을 갖고 구조개혁을 설득해야한다”, “단기적 성장률 제고를 목표로 한 대응을 자제하고 중장기적으로 구조개혁, 핵심역량 강화를 지속 추진해야한다”며 일관되고 장기적인 구조개혁을 강조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경제체질 개선의 골든타임이 사실상 8개월 밖에 남지 않았다”며, “금리인하ㆍ확대재정 등 단기적인 대책만으로는 역부족인 만큼 근본적으로 신산업 ‧신시장을 창출하고 노동개혁 등 구조개혁을 차질 없이 완수해야한다”고 밝혔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