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화스포츠 칼럼-김학수 한체대 스포츠언론연구소장] ‘돈 주는 복지’에서 ‘운동하는 복지’로
지난 8일 통합 대한체육회 출범식이 올림픽파크텔 올림픽홀에서 열렸다. 2주전 엘리트체육의 대한체육회와 생활체육의 국민생활체육회가 1년여의 진통 끝에 전격적으로 통합에 합의하고 통합체육회 시대를 열었다. 김정행 전 대한체육회장, 강영중 전 국민생활체육회장이 통합 대한체육회의 공동회장으로 선임됐다는 사실만을 놓고 본다면 아직 과도기의 모습이다. 통합 대한체육회는 새로운 정체성을 갖고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엘리트체육도 살리고, 생활체육도 살려야 하는 게 통합 대한체육회에 주어진 시대적 책무일 것이다. 그동안 엘리트체육 중심으로 성장해왔던 우리나라 체육은 장차 저출산 등으로 한계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통합 대한체육회 이전 선수등록 현황에 따르면 초등학교 선수수가 감소되는 등 선수 부족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엘리트 선수 육성의 근간이 흔들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이 이어지면 국제경쟁력 약화는 불을 보듯 뻔하다. 1988년 서울올림픽이후 세계 스포츠 10대 강국으로 군림했던 우리나라 엘리트체육은 과거의 화려했던 꿈을 멀리하고 스포츠 후진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트체육은 클럽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생활체육의 활성화와 스포츠 인구의 저변 확대를 통해 폭넓은 인적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노령인구의 증가는 만성적 질환 등에 의한 의료비, 즉 사회적 지출 증가로 이어져 사회적 부담이 크게 작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데 생활체육을 근간으로 스포츠가 중요한 역할을 떠맡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 대한체육회는 스포츠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잘 전파해 나가며 스포츠가 국민복지를 증진하는 후원자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통합 대한체육회가 출범식에서 밝힌 비전은 ‘스포츠로 행복한 대한민국’으로, 새로운 스포츠의 방향을 잘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스포츠는 올림픽 등에서 국위 선양을 위한 정체성을 확인하고 프로스포츠 등을 관전하는 ‘보는 스포츠’로 인식하는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개인의 건강과 존재감을 확인하는 ‘하는 스포츠’로 받아들이는 선진국형의 스포츠관과는 거리가 있다.

통합 대한체육회의 출범을 기화로 스포츠를 국가와 사회가 제공해야 할 공공서비스로 자리잡도록 해야한다. 특히 스포츠를 국민적 복지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국가적으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

선진국은 청년수당, 노인수당 등 돈을 주는 복지를 지양하고 ‘일하는 복지’, ‘운동하는 복지’로 복지시스템을 이미 전환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국민들이 복지에 대한 개념을 돈을 받는 것으로만 이해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 시절, 필자를 위시한 세대들이 학생 시절 ‘체력은 국력’이라는 모토로 고교, 대학입시에 체력장을 반영하며 반강제적으로 운동을 해야만 했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이때는 인위적이고, 강압적으로 운동을 해 오히려 운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했다. 통합 대한체육회 시대는 운동이 국민 복지의 기본권으로 자리잡을 수 있어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