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라우마 한국③] 트라우마 극복하는 그들의 방법, 해외에선?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지난 2011년 7월 노르웨이 노동당 청년캠프가 개최되던 노르웨이의 섬 우토야에 한 극우 테러리스트가 총기를 난사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 테러로 당시 청년캠프에 참가했던 학생 1000여명 중 69명이 사망했고, 적잖은 수가 정신적ㆍ육체적 트라우마에 시달렸다.

노르웨이 정부와 시민사회의 대처는 신속했다. 호텔 체인을 보유한 억만장자 페터 스토르달렌은 국제적인 공개 모금을 시작하는 한편 우토야섬 복구 비용 중 3분의 1을 자비로 부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관심 속에서 생존자 등의 트라우마 관리도 이뤄졌다. 그 결과 유가족들은 ‘외면해도 이상하지 않을’ 우토야 섬으로 ‘치유 여행’을 다니게 됐다.

[사진=게티이미지]

노르웨이의 사례처럼 선진국들이 트라우마에 기울이는 관심은 상당한 편이다. 각국의 사정에 맞게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ㆍ재해로 인한 트라우마 관리를 해오는 선진국도 여러 곳이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과 일본이다. 대규모 자연재해와 전쟁 등으로 지난 1989년부터 재난정신보건사업에 관심을 가져온 미국은 9ㆍ11 테러 이후 연방재난관리청(FEMA)을 중심으로 재난 대응과 심리치료를 총괄하고 있다. 아울러 국가보훈처 산하 국립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센터를 설립해 PTSD 예방과 이해, 치료에 관한 교육ㆍ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센터가 직접 개인을 대상으로 임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지만 재난심리안정요원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거나 민간병원에서 활용하는 치료법 효과 분석하고 있다. 또 전문가를 양성ㆍ배출하는 등 민간 병원에서 PTSD 지원에 필요로 하는 전반적인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진이 잦은 일본에서도 ‘고베지진’ 이후 재난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훈련, 협진 등 재난 및 범죄분야 지원을 위해 일찌감치 고베시 효고현에 재난트라우마 센터를 설립했다. ‘재해지역 정신보건의료 활동지침’ 제작을 통한 행동강령을 마련하는가 하면,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ㆍ훈련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일본 정부는 이외에도 지난 2011년 3ㆍ11 동일본 대지진 피해를 입은 후쿠시마 등 3개 지역을 위해 심리치료센터 14곳을 설치하기도 했다.

미국, 일본 외 선진국에서도 PTSD에 대한 관심은 높다. 이스라엘의 경우 1982년 레바논 전쟁때부터 국가 차원에서 PTSD 지원 및 관리 지침서 등을 발간하고 있으며, 호주에서는 보훈처와 멜버른 대학이 연합해 호주 외상 후 정신건강센터를 설립, 재향군인의 정신건강 상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중국에서도 PTSD는 중요한 과제로 급부상 하고 있다. 끊이지 않는 자연재난, 소수민족 테러 등으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 유족 및 부상자들에 대한 정신적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 당국은 지난 2008년 쓰촨(四川) 대지진으로 8만여 명이 사망했을 때 심리학 전문가, 심리치료사 등 230여명으로 구성된 ‘심리위기치료 의료단’을 투입하기도 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