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근혜 ‘직업고’, 박정희 ‘공고’…고교정책 부전여전’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박근혜 정부가 취업난 해소를 위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등 직업계고 학생 비중을 2022년까지 전체 고교생의 30%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하면서 과거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공고 우대 정책’과 흡사해 부전여전(父傳女傳) 닮은꼴 정책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교육부는 20일 ‘2016년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하면서 교육부는 중등과 대학 분야 구조조정을 통해 청년 취업난에 대응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교육부는 고졸 취업자를 늘리기 위해 전체 고교생 가운데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등 직업계고 학생수 비중을 현재 19%에서 2022년까지 30%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현재 직업계고 입학정원은 11만3000명이지만 수요는 14만4000명으로 3만1000여명의 초과 수요가 발생했다.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자, 고졸취업자 등 취업을 먼저 하고 나중에 대학에 진학하는 사람들을 위한 ‘후(後)진학’ 대학 정원 규모는 올해 6만959명으로 지난해 보다 4800여명 늘어난다.

수치는 다르지만 내용상으로 보면 마치 40여년 전 박 전 대통령의 이공계 우대 정책과 흡사하다.

박 전 대통령은 1970년대 기술과 산업강국을 강조했다. 고입을 앞둔 중학생들에게 공고 우대 정책을 통해 ‘선취업 후진학’을 유도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친구 따라’ 대학 진학이 잦아들기 시작했다. 적성에 맞게 취업을 먼저 하고, 그 이후에 대학을 진학하는 등 취업후 공부를 해도 늦지 않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대입 역시 이공계 우대 정책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다. 공고, 상고출신 학생들에게 동일계열 대학 입학 자격을 부여하면서 ‘가난한 수재’들도 서울대에 들어갈 수 있도록 길을 터준 것이이다.

1980~1990년대 산업화의 주역들은 물론 요즈음 기술 명장 대부분이 이 시기에 공고로 진학, ‘선취억 후진학’의 길을 걸어왔다.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과 딸 박근혜 대통령이 바라보는 청년 정책이 닮아가고 있다. 학력이 아닌 능력 중심의 사회가 되면 과도한 학벌 중시 경향이나 양극화 문제도 자연스럽게 완화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