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파리 테러 후유증]분열·혼란·통제…지구촌‘테러의 공포’에 제압 당했나
분열
미국정계 난민문제 놓고 의견 양분
독일선 반이슬람 운동 ‘페기다’열려

혼란
美 하버드대 폭파위협 대피소동
파리서는 폭죽터져 시민 혼비백산

통제
올랑드, 대테러 정책위해 개헌추진
영국 최근 정보기관원 1900명 늘려



‘파리 연쇄 테러’의 후유증이 거세다. 이후 유럽과 북미에서 시리아 난민 정책을 두고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이슬람 사원을 겨냥한 방화도 잇따르고, 조그만 소동도 테러로 오인되고 있다. 인권과 자유권을 통제해서라도 테러를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공포’를 통해 분열과 혼란, 억압을 확산시키려는 이슬람국가(IS) 의도가 일부 먹혀드는 모습이다.


분열=이미 파리 테러 전부터 난민 문제로 갈등을 빚어온 유럽은 반(反) 난민 정서가 더욱 깊어지는 모습이다.

폴란드에서는 지난달 8년만에 정권을 쥔 우파 정부가 16일 국경 봉쇄를 약속했다. 국경에 철조망을 두른 헝가리의 빅토르 오르반 총리는 이 날 의회에서 “테러범들이 대규모 유입 난민을 활용하고 있다”고 단정했다.

난민에 가장 관대했던 독일에서도 반이슬람 운동 ‘페기다’ 집회가 열렸다. 집회에는 지지자 9000~1만2000명 가량이 집회에 참석했다. 네덜란드, 프랑스 우파 정치인들이 난민을 가장한 테러범의 유입에 우려를 표명했다.

미국 정계는 ‘난민’ 문제로 둘로 갈라섰다. 앨라배마, 텍사스, 아칸소, 위스콘신 등 최소 23개주가 주민보호를 이유로 시리아 난민 수용 거부를 표명했다. 이 가운데 22개주는 공화당 소속 주지사가 집권 중이다. 이들은 오바마 정부가 향후 12개월 안에 시리아 난민 1만명을 수용하겠다고 밝힌 계획의 철회 또는 유예를 요청하고 있다.

공화당 대선경선 지지율 1위의 벤 카슨 후보는 폴 라이언 하원의장에게 서한으로 의회가 난민 정착 지원 예산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젭 부시 후보(전 플로리다 주지사)는 시리아 기독교인만 받자고 했고, 인도계인 바비 진달 후보(루이지애나 주지사)는 주 내 시리아인 정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테드 크루즈(텍사스 주지사), 마이크 허커비(전 아칸소 주지사), 마르코 루비오(플로리다 주지사) 등도 시리아 난민 수용에 반대했다.

이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난민에게 ‘종교 시험’을 치르게 하는 것은 “미국인의 참 모습이 아니다”라며 1만명 수용 방침을 유지했다. 난민구호 단체들은 미국의 시리아 난민수는 지난 2년간 1900명에 불과하며, 주 정부는 난민 정착 프로그램을 거부할 권한이 없다고 따졌다.

난민 수용에 적극적인 진보 총리가 취임한 캐나다에서도 서부 서스케처원주 등 일부 지역이 쥐스탱 트뤼도 총리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난민 수용 계획 유예를 요청했다.

혼란=유사 테러, 이슬람 증오 범죄도 늘어날 조짐이다.

16일 캐나다 온타리오 모스크(회교사원)에선 고의 방화로 경찰이 수색에 나섰다. 트뤼도 총리는 “무슬림 캐나다인도 우리 사회, 경제 층에 엄청나게 기여하고 있다”며 이슬람계 주민 보호를 약속했다.

미국 하버드대학에서는 이날 폭파 위협을 받고 4개건물 내 학생과 직원을 긴급 대피시키는 소동이 빚어졌다. 하버드대가 있는 매사추세츠 주 다른 대학들에도 폭파 위협이 있따라, 이 날 하루 수업을 취소했다.

IS가 다음 공격대상으로 로마, 런던은 물론 워싱턴D.C.까지 거론하면서 미국인들의 불안감을 높인 탓이다.

같은 날 파리 도심에서 애도 인파 속에서 폭죽이 터져, 100명 가량이 이를 총소리로 오인해 혼비백산한 일도 벌어졌다.

통제=테러를 막는다는 명분으로 강력한 통제정책도 힘을 얻고 있다.

3개월간 국가비상사태인 프랑스는 16일부터 시리아에서 귀국한 모든 자국민을 가택 연금한다. 또 올랑드 대통령은 2년간 경찰 5000명 증원, 세관과 국경 관리 업무에 1000명 추가 배치하고, 임기 내인 2017년까지는 군 예산 삭감을 유예하기로 했다.

올랑드 대통령은 의회 연설에서 “국가비상사태에 의지하지 않고도 쓸 수 있는 적당한 수단이 필요하다”며 개헌의 필요성까지 언급했다고 영국 BBC가 보도했다.

이와 관련 파이낸셜타임스(FT)는 2012년에 프랑스 시리아 다마스커스 대사관을 철수하고, 외교관계를 단절한 뒤 정보 부재에 시달렸다고 지적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