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성 도기동에서 백제~고구려시대 목책성 발굴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안성 도기동 유적에서 백제의 한성 도읍기부터 고구려가 남쪽으로 진출한 시기에 사용된 목책성이 확인됐다. 이곳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기남문화재연구원이 지난 9월부터 발굴조사 중이다.

목책성은 구덩이를 파고 나무기둥을 박아 서로 엮어서 성벽을 만든 방어 시설을 말한다. 안성 도기동 유적은 안성천과 잇닿은 나지막한 구릉지에 위치한다. 목책성은 산줄기의 지형을 따라 분포하는데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일부 단절됐으나 모두 4개 구간에 걸쳐 130m 정도의 길이로 확인됐다.

안성 도기동 유적 원경

목책성은 토루를 쌓고 목책을 세운 구조다. 토루는 기반암 풍화토를 층이 지게 비스듬히 깎은 후 토루 바깥면에 깬돌을 활용하거나, 토제를 두고 흙다짐해 조성했다. 토제는 토루의 흙다짐층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둑 모양의 시설이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특이한 점은 토루 바깥면을 직각으로 깎아낸 후, 신라 석성의 구조적 특징 중 하나인 보축성벽과 유사한 보강벽을 조성한 것이다. 단면이 직각 삼각형 모양인 보강벽은 깬돌을 3~4단 정도 쌓고 벽면에 점토를 두텁게 바른 후 점토덩어리를 겹겹이 쌓고 불탄 흙을 다져 올려 마무리한 구조다. 이는 고구려 목책성인 세종시 부강면의 남성골산성과 축조방법이 매우 흡사하다.

유물로는 토루의 흙다짐층과 목책구덩 등에서 세발토기(삼족기), 굽다리접시(고배), 시루 등 백제 한성도읍기의 토기를 비롯해 뚜껑, 손잡이가 달린 항아리(파수부 호), 짧은 목 항아리(단경호), 사발(완) 등의 고구려 토기와 컵 모양의 가야계 토기도 출토됐다.

삼국시대 성책 목책렬 전경(1구간)

출토된 유물로 보아 목책성의 중심연대는 4~6세기로, 백제에 의해 축조돼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에는 고구려가 일부 고쳐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는 사료로만 전하는 삼국시대 책(柵)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며 “경기 남부지역에서 고구려가 활용한 목책성이 최초로 확인됨에 따라, 진천 대모산성, 세종 부강리 남성골산성, 대전 월평동산성 등과 연계해 고구려의 남진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는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유적임이 밝혀졌다”고 전했다.

발굴현장은 오는 5일 오후 2시 학계 연구자와 일반인에게 공개된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