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시내만 4038곳 있는데…혹 비상대피소 위치 아시나요?
남북 일촉즉발 위기 넘겼지만…북한 도발위험성은 상존
대부분 입구도 찾기 어렵고…주변 주민들도 알지못해



일촉즉발의 한반도 전쟁 위기가 사그라들면서 시민들이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도발이 언제든 재발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쟁 위협에 대비한 시민안전대책을 시급히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비상대피시설이 도처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알고 있는 시민이 많지 않아 유사시 발빠르게 대피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또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비상대피 시설들이 단지 ‘지붕’ 역할 밖에 되지 못할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꼭꼭 숨은 대피시설> 북한 도발에 대한 안전 대피시설이 서울시내에만 4,038 군데나 있지만 시민들이 이를 알지 못해 유사시 빠른 대처를 못할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자기 집이나 직장 주변 대피소가 어디인지 찾아 볼 필요가 있다. 박현구 기자phko@heraldcorp.com

26일 국민안전처가 운영하는 홈페이지 ‘국가재난정보센터(www.safekorea.go.kr)’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만 4038곳의 비상대피시설이 있다.

이곳에서 자신의 집이나 직장 주변의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다. 주로 건물이나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지하상가, 지하철역 등이 대피소로 지정돼 있다.

하지만 본지가 서울 시내의 주택가, 사무실 밀집지역, 상업지구의 비상 대피소들을 돌아본 결과, 대피소 입구를 찾기도 어려울 뿐더러 시설 관계자나 주민ㆍ주변 상인 등도 이곳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실제로 서울 영등포구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입구에는 절반이 잘려나간 ‘대피소’ 표지판이 걸려 있었다.지하주차장 전 구역이 비상 대피소로 지정돼 있지만, 관리소 직원 이모(38ㆍ여) 씨는 “우리 아파트가 비상대피소였냐”며 되물었다. 당연히 비상시 주민을 안내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받은 적도 없었다. 아파트 주민 정모(30ㆍ여) 씨도 “사실 전쟁 위협이나 대피 상황을 제대로 상상해 본 적이 없다”며 “지하주차장이 대피소가 되는지 지금 알았다”고 말했다.

대부분 지하주차장이 딸려 있는 아파트는 그나마 사정이 좀 나은 편이다.

다세대주택가나 노후 상가들이 밀집한 지역은 주위에 대피할 수 있는 곳을 미리 알아두지 않으면 유사시 위험할 수 있다.

30여개 사무실이 입주한 서울 중구의 한 건물. 비상대피소로 지정된 이곳 지하주차장도 관리가 전무했다.

이 건물 경비 김모(55) 씨는 이 사실을 알고는 있었지만, 비상시 어떤 매뉴얼로 움직이라는 지침을 받은 적은 없다고 했다.

김씨는 “대피명령이 떨어지면 민방위 대원들이나 구청 직원이 나와서 안내해 주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비상대피소로 들어가는 입구를 찾기 어려운 곳도 있었다.

서울 서대문구 대학가의 한 빌딩은 대피소 간판을 걸어두고 있으나 지하로 들어가는 문이 바로 패밀리 레스토랑 입구였고, 옆으로 난 쪽문이 지하주차장으로 이어지는 통로여서 급할 때 바로 찾아 들어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피소를 용케 찾아서 들어간다 해도 비상시 장기간 몸을 피해 숨어 있을 수 있는 곳도 드물다.

기자가 찾아가 본 비상대피소들에서 비상조명등, 응급처치비품, 손도끼나 삽 같은 도구들을 갖추고 있는 곳은 거의 없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국민안전처 민방위과 관계자는 “서해5도나 접경지역의 대피소들은 정부 지원으로 설치돼 몇가지 용품들을 갖추고 있다”면서도 “이와 달리 서울시내 대피시설은 공공장소를 유사시 사용하도록 지정한 것이어서 국민안전처에서 직접 관리를 하지는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세진 기자/jin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