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한국경제에 짐이 된 ‘오너 리스크’ 개선방안 찾아야
롯데그룹 형제간 경영권 다툼으로 이른바 ‘오너 리스크’가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소유와 경영이 오너에게 집중된 한국적 ‘황제 경영’ 방식이 기업에 손해를 끼치고, 나아가 한국 자본시장의 위상을 끌어내리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핵심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롯데그룹이 계열 주식 주가 급락으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한 게 그 전형적 사례로 보고 있다. 남북 대치와 북한 핵 문제 등 지정학적 이유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 요인이었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양상이다. 그만큼 오너 리스크가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얘기다.

사실 오너리스크는 한국증시의 고질적 불안요인으로 어제 오늘 불거진 건 아니다. 가까운 사례만 봐도 지난해 12월 당시 조현아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 회항’ 사건이 그랬다. 특권의식에 빠진 창업주 2, 3세들로 인해 그룹 전체가 주가 하락은 물론 대내외 신인도가 추락하는 등 큰 위기를 겪었다. 얼마전 삼성그룹이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건으로 미국계 헤지펀드 공격을 받았던 것도 취약한 지배구조의 틈을 노린 것이다. 이를 바라보는 해외 언론과 투자자들의 시선 역시 고울리 없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롯데 일가 분쟁을 “한국에서는 빈번하게 나타나는 해로운 형태”라고 꼬집었다. 우리 경제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려면 오너 리스크 해소는 더는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

정부와 여당이 재벌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당정회의를 열고, 새정치민주연합 신학용 의원이 대기업이 해외 계열사를 이용한 편법 신규 순환출자를 막는 일명 ‘롯데법’을 발의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이번에 드러난 롯데그룹의 순환출자 구조를 보면 마치 반도체 회로도 같아 웬만한 전문가들도 이해하기 어렵다 . 더욱이 자본금 2억원 정도인 광윤사라는 정체불명의 회사가 자산 80조원대의 롯데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어처구니없는 구조를 보면 기가막힐 따름이다. 관련법을 고쳐서라도 적어도 이런 비상식적이고 비합리적인 구조는 개선돼야 한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의사결정과 지배 구조가 불투명한 기업에 투자할 투자자는 아무도 없다. 특히 후진적 황제경영 방식은 해당 기업은 물론 한국 경제 전반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물론 오너 경영의 장점도 많다. 신속하고 과단성 있는 의사결정은 산업화시절 고속성장의 원동력이기도 했다. 또 2,3세 오너라도 경영능력을 인정받은 경우는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불투명한 지배구조는 개선이 필요하다. 그게 길게 보면 기업과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