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식물성 플랑크톤 ‘두 얼굴’…오히려 온난화 20% 가중시켜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동물성 플랑크톤의 먹이로,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성장하기 때문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를 흡수해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식물성 플랑크톤이 얼었다가 녹을 경우 북극 온난화를 가중시키는 ‘증폭제’로 돌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학계에 비상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친환경 미생물로 알려진 식물 플랑크톤이 오히려 온난화를 가속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포스텍(옛 포항공대)과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학연구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공동연구진은 20일(현지시각)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 인터넷판을 통해, 식물 플랑크톤이 해수면의 열을 흡수해 온난화를 최대 20%까지 증폭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식물 플랑크톤에 들어 있는 엽록소(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색소)는 태양에너지뿐 아니라 바다 표면의 열까지 흡수한다.

따라서 해빙이 녹을 때 바닷물에 흡수된 태양에너지가 식물 플랑크톤의 성장을 돕고, 늘어난 식물 플랑크톤이 해수면의 열을 더 많이 흡수해 수온이 계속 올라간다.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순기능인 이산화탄소 흡수보다 수온 상승이라는 악영향을 더 발휘할 가능성이 제시된 것이다.

국제학계는 지금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2배 늘면 북극해 표층 온도가 섭씨 5~6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구진은 여기에 식물 플랑크톤의 열 흡수 효과가 추가될 경우 미치는 영향을 컴퓨터 모의실험으로 추정해 본 결과 수온이 1, 2도 더 상승했다고 밝혔다. 연구를 주도한 국종성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는 “북극해의 생태학적 변화를 기후변화 예측에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