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온라인 무역서 맥 못추는 수출대국 한국
관세청이 19일 발표한 전자상거래 수출입동향을 보면 온라인무역 적자국으로 전락한 한국의 민낯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해외 직구(온라인구매)는 목록통관을 포함해 1553만1천건에 15억4491만5천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해외로부터의 직구(역직구)는 목록통관을 제외하고 지난해 10만5400건에 2808만7천달러로, 전자상거래 무역적자는 15억1682만8천달러에 달했다. 목록통관은 물품값이 100달러(미국은 200달러) 이하로 금액이 크지 않아 무역수지 통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사실상 지난해 직구 금액은 역직구의 55배로 비교 자체가 무의미한 실정이다. 무역적자는 지난해 평균 원/달러 환율 1053원을 적용하면 원화로 1조5970억원대이다. 이같은 적자규모는 해마다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이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지난해에만 직구 규모가 전년보다 건수로 39.1%, 금액으로 48.5% 증가했다. 2010년과 비교하면 건수로 330%, 금액으로 463%나 뛰어올랐다.

세계는 지금 급격히 커지고 있는 온라인 무역에 대응한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데 우리 발걸음은 더디기만 하다. 유럽연합(EU)은 전자상거래 이용자 비중을 7%에서 2020년까지 20%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미국도 2020년까지 소비자 대상 전자상거래(B2C) 비중을 27.3% 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일본은 미국과 공동 프로젝트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의 역직구가 직구에 비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는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드러난다. 박 대통령은 “액티브엑스와 같은 낡은 규제에 안주한 결과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데 비해 역직구는 걸음마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이 지난해 3월 ‘천송이 코트’를 언급하면서 간편 결제가 최대 과제로 대두된지 근 1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아직껏 미국의 페이팔이나 중국의 알리페이 같은 원클릭 결제시스템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IT 강국’ 이란 평가가 무색하다. 이런 속도로는 세계 흐름을 따라잡을 수 없다.

직구 시장의 인기 품목은 비타민류 등 건강식품, 핸드백ㆍ가방, 의류와 신발류 등이다. 해외 직구 급증이 국부 유출은 물론 가뜩이나 가라앉고 있는 내수 침체를 더 부추길수 있다는 얘기다. 이를 타개하려면 관세청과 금융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등 정부가 기업과 머리를 맞대고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한류 열풍과 한국 물건 선호도가 높은 중국ㆍ동남아를 타깃으로 성공적 모델을 만든다면 자신감도 부쩍 올라갈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