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이디어서 사업화까지…혁신센터, 창조경제 생태계 만든다
[홍성원ㆍ정찬수 기자]정부는 10일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 카이스트 나노 종합기술원에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 출범식을 가졌다. 이 센터는 SK그룹이 중소ㆍ중견ㆍ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1대1 멘토’ 형식으로 사업 노하우를 전수해 창조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SK와 대전시, 카이스트 등 45개 기관의 다자간 MOU를 통해 대전을 과학기술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청와대가 진두지휘해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하나씩 세워질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1~2곳씩 맡아 맨투맨 형식으로 꾸려나가게 된다. 박 대통령은 9월 15일 삼성그룹이 멘토역할을 하는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도 갔었다.

▶박 대통령 연이은 혁신센터 출범식 참석, 왜?= 박 대통령은 주요 지역의 센터 출범식을 직접 찾아 창조경제를 ‘붐업’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쯤되면 박 대통령의 ‘창조경제 떠받치기’는 ‘내리사랑’ 수준이다. 왜 일까. 선뜻 이해되지 않던 조어(造語)인 창조경제를 둘러싼 논란이 적지 않았던데다 실체가 있는 결과물을 내놓지 못한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행보라는 지적이다.

창조경제는 박근혜정부의 핵심 경제 패러다임이지만, 그 정의를 놓고 갑론을박이 만만치 않았다. 급기야 박 대통령은 지난 2월 미래창조과학부 등의 업무보고 자리에서 “어떻게 보면 너무 쉬운 것인데 너무 어렵게 생각하면 답이 안 나오는 것이 창조경제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했다. 1월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선 “경제주체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과 IT를 접목하고 융복합을 촉진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정의를 내리기도 했다.

좀체 전진하지 못하던 창조경제를 띄우기 위해 청와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들고 나온 것이다. 센터 운영방식도 최근에 싹 바꿨다. 지역 단위로 운영해보자는 당초 계획이 지지부진하자, 핵심 플레이어로 대기업을 투입키로 했다. 자금과 경험이 풍부한 대기업이 창업보육ㆍ금융컨설팅까지 아우르면 창의적인 아이디어만으로도 중소ㆍ중견ㆍ벤처기업의 사업을 성공시킬 확률이 높아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박 대통령이 이들 센터의 출범식에 잇따라 참석하는 것도 대기업의 역할을 극대화하기 복안이라는 분석이다. 이미 ‘굴러가고 있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에 박 대통령이 등장하면서 ‘확대 출범식’이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다. 앞서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도 마찬가지 이유로 출범식이 두 차례 치러졌다.

▶혁신센터, 창조경제 혁신 출발점으로= 박 대통령의 지대한 관심과 대기업이라는 ‘구원투수’ 등장으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창조경제는 확산의 전기를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대기업과 연계한 혁신센터를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 17개 시ㆍ도에 설치하고 지역내 창조경제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 박근혜 대통령의 잇단 혁신센터 방문은 창조경제가 지역 전반에 뿌리내리도록 해 국민경제 지속 성장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방증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ㆍ벤처기업, 대학ㆍ연구기간, 지자체 등 인재를 키우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번 대전혁신센터의 업무협약과 개발자 포럼은 지난달 15일 문을 연 대구혁신센터의 연장선으로 지자체ㆍ기업간 기술협력의 장을 더 많은 지역으로 넓힌다는 데 의미가 있다.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창조경제 확산의 구심점으로 조기 정착시키기 위해 17개 시도별로 주요 대기업과 혁신센터를 연계한 ‘1대1 전담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혁신센터는 올해 하반기 부산, 인천, 광주, 경기, 경남 등 5개 지역에 문을 연다. 개소 즉시 활동이 가능하도록 창조경제협의회를 구성해 민간전문가를 센터장으로 선임할 계획이다. 이어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등 6개 지역은 지역 특성에 맞는 운영방안이 준비되는 대로 내년 상반기까지 설치를 추진한다.

그간 혁신센터는 창업ㆍ벤처 지원을 위한 환경 조성에는 일정부분 성과를 거뒀지만, 대기업과의 상호작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구혁신센터에 이어 대전혁신센터 등 잇단 업무협약은 자금ㆍ기술을 갖춘 대기업을 창조경제 생태계에 참여시켜 상생 행보에 기여하는 한편, 우수 중소ㆍ벤처기업과의 윈-윈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혁신센터의 핵심 역할은 체계적인 창업ㆍ기술 사업화 지원이다. 지역전문가와 대기업 직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멘토단이 혁신센터에서 멘토링을 제공하며, 기업의 보유자원과 국내외 네크워크를 활용해 판로 개척과 투지유치를 지원한다. 또 지역별 특화된 전략사업 위주로 대학, 출연연 등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중소ㆍ벤처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날개를 달 수 있도록 진출 과정을 밀착 지원한다.

대구혁신센터가 개소된지 1개월이 경과한 현재, MOU를 체결한 벤처ㆍ중소기업과 삼성간의 협력ㆍ투자가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에이투텍은 삼성전자와 구체적인 기술협력을 추진 중이며, 티피에스ㆍ성진포머는 삼성벤처투자와 지분투자 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확대출범식에서 발표된 대구시와 삼성 매칭 창업지원 펀드 200억 원 외에도 금융기관들이 100억 원 내외의 펀드를 별도로 추진 중이다.

이날 열린 대전혁신센터 MOU 역시 45개 기관의 연구ㆍ사업화 역량을 최대한 결집한 다자간 협력체계다. 대전시ㆍSKㆍ대전혁신센터를 비롯한 KAIST, 대덕특구 재단, 출연연, 국내외 기업 10개사 등이 참여했다.

일단 대전혁신센터에서는 ‘벤처 대박’ 사례를 위해 SK의 집중적인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이를 위해 지난달 진행된 ‘드림 벤처 스타’ 공모전을 통해 10개 유망 창업팀이 혁신센터에서 집중 멘토링을 받을 예정이고, SKT의 미국 현지법인인 ‘이노파트너스(InnoPartners)’와 글로벌 창업기획사 ‘Lab IX’를 통해 실리콘 밸리의 자금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을 접목한 자체 공간을 구성해 교육을 통한 지역내 창의문화 확산에도 심혈을 기울일 전망이다.

대구ㆍ대전혁신센터는 창의인재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초ㆍ중ㆍ고교에 소프트웨어 교육 지원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기술공모전과 인턴십을 통해 꿈나무를 발굴한다. 대학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재를 배출하는 데 집중한다. 산업체로부터 소요 인력과 교육 내용을 주문받아 교육하고, 교육 이수자의 취업까지 연계하는 방안이 진행될 예정이다. 실제 대구 영진전문대에서 현재 삼성전자 금형기술반, LG이노텍 전문반 등 50개 별도 전공반에서 재학생의 약 30%인 1844명이 주문식 교육에 참여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015년까지 나머지 15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모두 출범시키고, 지역 특성에 맞는 모델로 창조경제가 뿌리내리도록 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국민경제의 지속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