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 주도 45개 기관 협력…대전을 과학기술 줄기세포로
朴 대통령, 대구 이어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식도 참석
지자체, 창조경제탯줄로 육성
과학기술·IT접목 일자리 창출…朴대통령 각별한 관심 반영



정부는 10일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 카이스트 나노 종합기술원에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 출범식을 가졌다. 이 센터는 SK그룹이 중소ㆍ중견ㆍ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1대1 멘토’ 형식으로 사업 노하우를 전수해 창조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SK와 대전시, 카이스트 등 45개 기관의 다자간 MOU를 통해 대전을 과학기술 중심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청와대가 진두지휘해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하나씩 세워질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1~2곳씩 맡아 맨투맨 형식으로 꾸려나가게 된다. 박 대통령은 9월 15일 삼성그룹이 멘토역할을 하는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도 갔었다.

▶박 대통령 연이은 혁신센터 출범식 참석, 왜?=박 대통령은 주요 지역의 센터 출범식을 직접 찾아 창조경제를 ‘붐업’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쯤되면 박 대통령의 ‘창조경제 떠받치기’는 ‘내리사랑’ 수준이다. 왜 일까. 선뜻 이해되지 않던 조어(造語)인 창조경제를 둘러싼 논란이 적지 않았던데다 실체가 있는 결과물을 내놓지 못한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행보라는 지적이다. 

창조경제는 박근혜정부의 핵심 경제 패러다임이지만, 그 정의를 놓고 갑론을박이 만만치 않았다. 급기야 박 대통령은 지난 2월 미래창조과학부 등의 업무보고 자리에서 “어떻게 보면 너무 쉬운 것인데 너무 어렵게 생각하면 답이 안 나오는 것이 창조경제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했다. 1월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선 “경제주체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과 IT를 접목하고 융복합을 촉진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정의를 내리기도 했다.

좀체 전진하지 못하던 창조경제를 띄우기 위해 청와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들고 나온 것이다. 센터 운영방식도 최근에 싹 바꿨다. 지역 단위로 운영해보자는 당초 계획이 지지부진하자, 핵심 플레이어로 대기업을 투입키로 했다. 자금과 경험이 풍부한 대기업이 창업보육ㆍ금융컨설팅까지 아우르면 창의적인 아이디어만으로도 중소ㆍ중견ㆍ벤처기업의 사업을 성공시킬 확률이 높아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박 대통령이 이들 센터의 출범식에 잇따라 참석하는 것도 대기업의 역할을 극대화하기 복안이라는 분석이다. 이미 ‘굴러가고 있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에 박 대통령이 등장하면서 ‘확대 출범식’이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다. 앞서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도 마찬가지 이유로 출범식이 두 차례 치러졌다.


▶창조경제 혁신 전기로=박 대통령의 지대한 관심과 대기업이라는 ‘구원투수’ 등장으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창조경제는 확산의 전기를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ㆍ벤처기업, 대학ㆍ연구기간, 지자체 등 인재를 키우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혁신센터의 핵심 역할은 체계적인 창업ㆍ기술 사업화 지원이다. 지역전문가와 대기업 직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멘토단이 혁신센터에서 멘토링을 제공하며, 기업의 보유자원과 국내외 네크워크를 활용해 판로 개척과 투지유치를 지원한다. 또 지역별 특화된 전략사업 위주로 대학, 출연연 등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중소ㆍ벤처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날개를 달 수 있도록 진출 과정을 밀착 지원한다. 대전의 경우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을 계기로 대전시, SK, 카이스트, 대덕특구 재단 등 45개 기관의 연구ㆍ사업화 역량을 최대한 결집하는 걸 내용으로 하는 다자간 MOU가 체결됐다. 주요 금융기관도 투ㆍ융자, 인수합병(M&A) 관련 6건의 MOU를 체결했다. 청와대의 ‘총력전’으로 창조경제의 결실을 맺기 위한 작업이 전방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청와대는 삼성그룹이 연계된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가 출범한지 1개월만에 에이투텍, 부싯돌 등의 벤처기업이 삼성전자와 구체적인 기술협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기존에 발표된 대구시ㆍ삼성매칭 창업지원펀드 200억원에 더해 100억원 안팎의 자금을 추가 조성하는 움직임이 있는 등 성과가 가시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구ㆍ대전혁신센터는 창의인재 육성에도 속도를 낸다. 초ㆍ중ㆍ고교에 소프트웨어 교육 지원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기술공모전과 인턴십을 통해 꿈나무를 발굴한다. 대학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재를 배출하는 데 집중한다. 산업체로부터 소요 인력과 교육 내용을 주문받아 교육하고, 교육 이수자의 취업까지 연계하는 방안이 진행될 예정이다. 실제 대구 영진전문대에서 현재 삼성전자 금형기술반, LG이노텍 전문반 등 50개 별도 전공반에서 재학생의 약 30%인 1844명이 주문식 교육에 참여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015년까지 나머지 15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모두 출범시키고, 지역 특성에 맞는 모델로 창조경제가 뿌리내리도록 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국민경제의 지속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성원ㆍ정찬수 기자/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