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 · 호남 분양물량 풍년일세~…2분기 2만4948가구 쏟아진다
전국 공급물량의 31%나 차지
혁신도시 일대 1분기 열기 재연
일부 지역선 ‘거품조짐’ 양상도


올 2분기 영ㆍ호남의 분양 물량이 풍성하다. 지방 부동산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좋아서다. 1분기 수요몰이도 상당했다. 각 건설사들도 두 지역에서 고객 맞이에 심혈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그러나 분위기가 좋더라도 시장엔 지역적 차별화 움직임이 있는 만큼 신중한 선택을 조언했다.

14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4~6월 영남과 호남지역에 분양하는 곳은 모두 43곳 2만4948가구. 2분기 전국 공급물량 8만88가구의 31.1%로 집계됐다. 이 중 영남은 27곳 1만7559가구, 광주 등 호남지역은 16곳 7389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영ㆍ호남 1분기 지표…‘봄날’?=영남지역 아파트값은 작년 대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민은행 부동산시세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경상남ㆍ북도 평균 아파트 매매가는 3.3㎡당 514만원 대에서 2014년 1분기에는 557만원으로 올랐다. 울산광역시는 같은 기간 3.3㎡당 660만원에서 676만원으로, 대구광역시는 1년새 3.3㎡당 574만원에서 660만원 대로 뛰었다.

호남지역은 전세가율이 높아 세입자들이 매매로 돌아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광주광역시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은 3월 기준 71.4%를 찍어 전국 전세가율 평균(61.8%)을 10%이상 웃돌았다. 전북 전세가율도 67.8%를 나타냈다. 호남의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전세보다 매매로 돌아서는 분위기가 강한 편”이라고 전했다.

1분기 이들지역에서 청약통장을 쓴 주택수요자도 상당했다. 14일 부동산114가 금융결제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 1월부터 이달 4일까지 전국 분양 아파트(일반공급 기준) 2만7695가구의 1순위 청약자는 총 10만9466명이었다.

이 중 부산ㆍ대구ㆍ울산ㆍ광주 등 광역시를 포함한 영ㆍ호남지역 1순위 통장 사용자는 9만9637명(1만9336가구 공급 )으로 91%가량을 차지했다. 4668가구가 일반공급된 서울ㆍ경기ㆍ인천에서 1순위 통장을 쓴 이들의 10배가 넘는다. 영호남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수도권보다 갑절가까이 높았다.


▶2분기 영호남 분양 주요단지…전망은=이달 중 경남 양산시 물금택지지구 13블록에서 ‘남양산역 반도유보라 5차’가 분양된다. 이 단지는 지하 2∼지상 25층 16개동, 전용면적 59∼93㎡ 1244가구로 구성됐다. 부산도시철도 2호선 남양산역과 인접해 서부 부산권과 가깝다.

5월 경남 창원 북면에선 ‘창원 감계힐스테이트 4차’를 공급한다. 이 단지는 지하4∼지상25층 전용면적 기준 59~101㎡로 구성된 총 1665가구 규모다. 업계에 따르면 1차(1082가구)와 3차(630가구) 분양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분양예정인 2차 아파트까지 더하면 감계지구에는 약 4000여가구의 힐스테이트 브랜드타운이 조성된다.

호남의 경우 전북 혁신도시 C3블록에서 ‘중흥S-클래스’가 이달 중 공급된다. 이 단지는 지하 2 ∼지상 25층 9개동 규모로 전용 84∼115㎡ 등 481가구로 구성됐다. 대한지적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식품연구원 등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이 가깝다. 편의시설이 들어서는 중심상업지구와 대규모 근린공원이 인접해 있다.

광주 동구에서는 학동3구역을 재개발한 ‘무등산 아이파크’가 5월 분양한다. 이 단지는 지하2층, 지상28∼35층, 11개동, 전용면적 59∼117㎡, 1410가구 규모다. 지하철 1호선 남광주역이 단지 바로 옆에 위치해 있는 초역세권 이파트다.

전문가들은 3월 말부터 대구 등 활황세를 보인 곳 호가가 빠지는 지역도 생겨 전체적인 상승세가 둔화하기 시작한 만큼, 조심스런 전망을 내놨다. 김현아 건설산업 연구원 건설경제실장은 “지방 분양시장은 혁신도시나 지역 제조업체 입주 등 큰 이슈에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라며 “지역별로 (분위기가) 차별화 하는 양상”이라고 진단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도 “영호남 공급물량은 혁신도시 일대 등에선 생각보다 결과가 괜찮은 편이었지만, 지역에 따라 투기 가수요가 나타나는 등 거품 조짐도 있다”며 “결국 기존 주택시장 흐름에 따라 청약시장도 수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현종 기자/factis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