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4년 최악의 AI로 기록되나…살처분 닭ㆍ오리 700만 마리
[헤럴드경제=안상미 기자]국내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지 50여 일만에 살처분한 닭과 오리의 수가 700만을 넘어섰다. 살처분 규모로 보면 국내에서 AI가 발생했던 지난 네 차례 중 2003~2004년, 2006~2007년, 2010~2011년 수준은 이미 뛰어넘었다. AI의 평균 지속기간을 감안하면 사상 최악이었던 2008년 1000만 마리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월 16일 고병원성 AI가 첫 발생한 이후 714만8000수의 닭과 오리가 살처분이 완료됐다. 지금까지 살처분 규모가 가장 컸던 때는 2008년이었다. 당시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무차별적으로 AI가 퍼지면서 1020만5000마리가 살처분됐다. 이에 따른 살처분 보상금 등 피해액도 3070억원에 달했다. 그나마 다행이었던 것은 철새가 떠나는 시점인 4월에 발병해 42일만에 AI가 종료됐다는 점이었다.

철새가 국내에 머무를 기간이 아직 남았음을 감안하면 이번 AI의 피해규모는 지난 2008년을 웃돌 수도 있다. 2008년과 달리 철새가 국내로 유입되는 12월이나 1월에 AI가 발생한 지난 3차례는 모두 AI 지속기간이 100일 안팎에 달했다.

과거와 달리 사육농가가 대규모로 바뀐 것도 피해를 더 크게 하고 있다.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보는 “5월 철새가 국내에서 떠날 때까지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오리의 사육규모가 최근 몇 년새 급증한 데다 AI 발생 지역 3km 이내는 적극 살처분에 나서면서 과거보다 살처분 규모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1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는 살처분 보상금을 놓고도 논란이 예상된다. 647만 마리를 살처분한 지난 2010~2011년 당시 보상금은 822억원이었다. 2008년 이후 AI가 확진된 농가의 경우 보상금에서 일률적으로 20%를 삭감한다. AI가 발생했다는 것만으로도 방역에 과실이 있었다고 간주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첨단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춘 축산과학원에서도 AI가 발생한만큼 농가의 반발도 예상되고 있다.

아직 축산과학원의 AI 발생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까지는 축산과학원 내 4개 저수지에 하루 20~30회 철새가 찾아왔으며, 분변 처리를 위해 자체 보유 차량을 이용해 축사를 출입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축사의 바닥관리를 위해 보유 중인 깔짚을 넣어준 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지만 앞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 차관보는 “축산과학원의 경우 일반농가보다 시설도 양호하고, 전문인력이 있는 곳이라 AI 발생에 대해서는 상당히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정밀 역학조사 통해서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hu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