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의 미술가연금신탁, 아트펀드 현황은?
[헤럴드경제=이영란 선임기자] 국내에는 아직 미국 및 유럽을 기반으로 하는 ‘APT(미술가연금신탁)’ 같은 연금신탁 제도는 없다.
미술대학을 나와 작가로 활동 중인 이들은 많고, 그들이 쏟아내는 작품 또한 많으나 이를 사겠다는 수요(컬렉터)층이 워낙 얇기 때문이다. 미술가연금신탁은 작가들이 맡긴 창작품을 판매해 그 대금으로 연금을 지급해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작품 판매’가 쉽지 않아 추진조차 안되고 있다.

▶연금신탁, 수요층 얇아 국내선 요원=한국 최대의 미술인단체인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는 집행부가 바뀔 때마다 미술인의 복지를 위해 연금 및 복지제도를 확립하겠다고 밝히곤 하나 이렇다 할 진척은 없는 상태다. 물론 전업 미술가는 특별한 소속 없이 독립적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연금 및 보험을 꼭 필요로 하는 층이다. 하지만 APT 같은 연금신탁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국내 미술시장이 보다 활성화하고, 미술품 수집의 대중화가 이뤄져야 한다.

▶미술품에 투자했던 아트펀드, 대부분 실패작으로=한편 미술품을 투자목적으로 사들인 뒤 이를 되팔아 수익을 분배하는 ‘아트펀드’는 국내에서도 여러 건 시행된 바 있다. 2006~2007년 국내 미술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자 금융권 및 몇몇 화랑이 앞장서서 아트펀드를 출시했다. 대부분 100억원 또는 200억원 규모의 사모펀드였다. 운용기간은 3년짜리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펀드가 출시된 직후 미국발 금융위기가 불어닥치면서 보유한 미술품 가격이 폭락해 대부분의 아트펀드가 큰 어려움을 겪었다.

투자를 위해 사들인 미술품을 되팔아 수익을 내야 하는데 ‘작품을 사겠다’는 수요가 거의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내리막길로 치닫는 미술품을 떠안겠다는 컬렉터가 있을 리 만무했던 것. 결국 10여건에 이르렀던 국내 아트펀드는 대부분 뼈아픈 시행착오로 막을 내렸다. 아트펀드를 주도적으로 조성했던 몇몇 갤러리는 경영상 큰 어려움에 봉착하기도 했다. 


또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의 장남인 조현준 ㈜효성 사장도 현대미술에 관심이 많아 지난 2008년 한국투자증권 및 굿모닝신한증권(현 신한금융투자) 등과 손잡고, 300억원대의 아트펀드를 조성했다. 그러나 이 역시 청산과정에서 상당액의 손실이 발생해 조 사장이 상당수의 작품을 떠안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국내 아트펀드 중에는 중국 작가 작품과 해외 유명 미술가의 작품을 사들인 펀드가 그나마 손실폭이 적거나, 적자를 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