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라이프 칼럼 - 김종> 스포츠산업, 전담부서 설치해야
문화체육관광부는 ‘스포츠로 미래를 바꾼다’는 모토 아래 스포츠산업 중장기 발전 계획을 수립했다. 창조, 융합, 상생, 공유, 개방 등의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신시장 개척 및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지금까지 스포츠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국제대회에서의 선전을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 활용됐다.

이는 결과지향적인 스포츠정책으로 이어져 엘리트스포츠 중심의 정책이 주를 이루어 스포츠강국으로서의 위치를 얻게 됐다. 하지만 이제는 스포츠의 정책적 패러다임이 스포츠의 산업적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있다.

국내외 스포츠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방송통신기술(ICT)·건강·관광 등 인접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해 산업의 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으나, 국내 스포츠산업은 마치 보석이 되기 전의 원석과 같이 여전히 가치를 산업화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 중 하나는 산업 정책을 주관하는 전담부서의 부재에 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스포츠산업은 신성장동력으로써 주목받아왔다. 2007년 스포츠산업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스포츠산업 선진국 도약을 위한 스포츠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을 발표하는 등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듯 보였다.

하지만 2009년에 스포츠산업과가 폐지되어 스포츠산업정책에 대한 추진 기능이 축소되고 방향을 잃는 결과를 초래했다.

예를 들어 공공체육시설의 장기 임대 및 수익시설 확대 등과 같은 규제완화 등 스포츠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책이 나오지 못했다.

영국은 창조산업정책을 추진하면서 문화유산부를 ‘문화미디어스포츠부’로 개편했다. 스포츠의 산업적 가치에 주목해 스포츠가 창조경제를 실행하는 중요한 콘텐츠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를 통해 디자인, 뮤지컬 등의 예술 산업과 관광, 미디어, 스포츠의 전략적 육성을 통해 영국의 경제 성장을 주도했다. 지난 런던올림픽에서는 스포츠와 문화의 융합이 무엇인지 여실히 보여주었다.

국내 스포츠산업 정책은 문화체육관광부 내 체육진흥과에서 주관하고 있다. 오늘날 전문화ㆍ특성화를 요구하는 시대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체육진흥과는 체육진흥에 목적을 두고 체육 분야 모든 영역에 효율적인 정책과 행정적 전문화를 추구하는 것이 타당하다.

마찬가지로 스포츠산업 역시 효율적인 정책 추진과 전문화를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내 전담 부서가 시급히 재설립되어야 한다. 스포츠산업과는 스포츠로 경제를 살리고 국가 미래를 바꾸는 기본적인 토대가 될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