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취득세 영구 감면 등 4·1 후속조치 나와야 부동산시장 산다”
투자자가 부동산 시장을 외면하고 있다. 아파트는 물론 한동안 투자자가 몰렸던 주상복합빌딩이나 오피스텔 등도 마찬가지다.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집값이 최고 수억원까지 떨어지는 등 수익성이 곤두박질치자 투자자가 부동산 시장에서 발을 뺐기 때문이다.

박근혜정부는 부동산 시장을 살리겠다면 4ㆍ1 대책을 내놨지만 사실상 반짝 상승세로 끝났다. 이 때문일까. 투자자가 매력을 느끼고 투자할 수 있는 부동산 시장을 만들기 위해선 4ㆍ1 대책을 보완할 수 있는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금융권, 부동산정보기관, 연구소, 중견ㆍ대형 건설사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분야별 부동산 전문가 30인이 주장하는 하반기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을 살리는 비법을 설문 형식으로 알아봤다. 설문에서 응답자의 53%는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세금 문제는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에게 민감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합수 국민은행 부동산팀장은 “실수요자만으로 주택 등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일정부분 투자 수요의 진입이 필요하다”며 “취득세 영구 감면뿐 아니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개인에 대한 개발부담금 면제 등 진일보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평했다.

세제 완화 만큼 중요한 부동산 정책으로 전문가의 26.6%는 4ㆍ1 부동산대책의 후속 입법을 꼽았다. 중대형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6%를 차지했다.

올 하반기 부동산 투자 시장을 좌우할 가장 큰 변수에 대해서도 전문가 43.3%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 즉, 정책 변수라고 답했다. 김부성 부동산부테크연구소장은 “시장 위축의 가장 큰 요인은 집값 폭등기에 내놓은 규제가 과도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윤현종 기자/factis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