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표암 강세황 탄생 300주년 특별전…조선시대 ‘자화상’ 은 어땠나
아주 특별한 자화상을 볼 기회가 생겼다. 반 고흐 등 대중에게 익숙한 서양의 자화상이 아니다. 조선시대에도 훌륭한 자화상이 있었다. 바로 ‘18세기 예원의 총수’로 일컬어지는 표암 강세황(1713~1791) 덕분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선시대 시ㆍ서ㆍ화(詩ㆍ書ㆍ畵) 세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낸 표암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한다. 표암 탄생 300주년을 기념한 특별전을 25일 개막해 8월25일까지 박물관 상설전시관 특별전시실에서 연다.

‘표암 강세황-시대를 앞서 간 예술혼’을 주제로 내건 이번 특별전에는 그의 시문을 모은 표암유고(豹菴遺稿)를 비롯, 그의 집안 유물과 송도기행첩(松都紀行帖)을 필두로 하는 산수화ㆍ초상화ㆍ사군자화, 그리고 그가 글을 남긴 다른 화가들의 작품을 합쳐 총 103점의 유물이 선보인다. 전시품 중에는 강현, 강세황, 강이오 초상을 비롯한 보물 6점이 포함된다.

1부 ‘문인화가의 표상’에서는 70세에 강세황이 스스로 스린 자화상을 볼 수 있다. 정조의 명으로 이명기(李命基ㆍ1757~?)가 그린 초상, 궁중화원 한종유(韓宗裕ㆍ1737~?)가 그려준 초상도 선보인다. 한종유가 부채에 그린 초상은 강세황 61세 때 모습으로, 이번에 처음 일반 공개된다. 소나무 아래 강세황이 앉아있는 이 ‘야외 초상화’는 국내에선 드문 형식이라 더욱 눈에 띈다.
 

2부는 ‘가문과 시대’를 내세워 표암의 일생을 담은 자료를 정리한다. 진주강씨 문중에 전하는 강백년(1603-1681)ㆍ강현(1650~1733)ㆍ강세황 관련 자료들은 관직 임명장인 교지(敎旨)와 각종 필묵, 유고(遺稿)를 포함한다. ‘문인의 이상과 꿈’을 내세운 3부는 안산에서 만난 여러 문사ㆍ화가와의 만남을 보여준다. 표암은 30대 초반부터 안산에서 30년간 살면서 처남 유경종(柳慶種ㆍ1714~1784), 화가 허필(1709~1768) 등과 각별하게 지냈는데, 이런 흔적은 지상편도(池上篇圖), 현정승집도(玄亭勝集圖)와 같은 그림에서 찾아볼 수 있다.

4부 ‘여행과 사생’에서는 송도ㆍ부안ㆍ금강산ㆍ중국 풍경을 그린 표암 그림을 정리하고, 5부 ‘다양한 화목, 청신한 감각’에서는 소재와 채색에서 새로움을 추구한 표암의 또다른 면모를 살펴본다. 마지막 6부는 ‘당대 최고의 감식안’ 으로서의 표암을 들여다본다. 겸재 정선, 관아재 조영석, 현재 심사정 등 강세황의 비평이 담긴 그림들을 만나 볼 수 있다.

박동미 기자/pdm@heraldcorp.com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