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레일이 ‘용산개발’ 파국을 막지 못한 진짜 이유는?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단군 이래 최대 규모’라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결국 6년만에 무산됐다. 부동산 경기침체로 난항에 빠진 이 사업은 1·2대 주주 간 다툼, 정부와 서울시의 소극적인 태도로 백지화를 피하지 못해 건설업계와 지역 사회에 큰 후폭풍을 불러올 전망이다.

토지주이자 최대 주주인 코레일은 8일 서울 중구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이사회를열어 이사 13명의 전원 찬성으로 이 사업의 토지매매계약과 사업협약 해제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코레일은 9일 시행사인 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회사(이하 드림허브)에 반납해야 할 토지반환대금 2조4000억원 중 5400억원을 곧바로 반납하기로 했다. 이 돈을 반환하면 드림허브는 사업 시행사 자격을 잃게 돼 사업 청산 절차를 밟아야 한다.

코레일은 오는 6월까지 나머지 땅값을 모두 갚고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의 소유권을 되찾고, 이달 말까지 드림허브에 협약이행보증금 2400억원을 청구할 계획이다. 최악의 사태를 피하지 못한 것은 드림허브가 지난달 12일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의 이자 52억원을 내지 못해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진 이후 코레일에서 제안한 정상화 방안을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정상화 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특별 합의서에 대한 출자사 동의율이 55.7%(지분 기준)에 그쳐 3분의 2가 찬성해야 한다는 특별결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2대 주주인 롯데관광개발 등은 코레일 주도의 정상화 방안을 거부하고 민간 주도의 새 정상화 방안을 역제안할 방침이었지만 코레일의 ‘강수’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지난달 디폴트 이후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상화 방안을 제안했지만 롯데관광개발, 삼성물산 등 민간 출자사와 SH공사의 반대로 결국 무산됐다”며 “협약이행보증금 청구를 위한 해제 절차를 4월 말까지 진행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코레일에서 토지반환대금을 입금하기 전까지 막판 극적인 타결이 이뤄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이사회 결의사항을 하루만에 뒤집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2007년 8월 사업자를 공모하며 첫 단추를 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단군 이래 최대 규모’라는 화려한 수식어를 뒤로하고 6년만에 파국을 맞게 됐다.

고속철도 부채 해소를 위해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를 대상으로 추진하던 이 사업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한강르네상스’ 연계 방안에 따라 서부이촌동을 포함하는 31조원 규모의 초대형 통합개발로 방향을 바꿨다가 이후 부동산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았다.

코레일은 2011년 7월 랜드마크빌딩을 선매입하는 등 답보 상태에 빠진 사업을 회생하기 위한 방안을 추진했지만 사업계획 변경 등을 둘러싼 민간 출자사들과의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자 청산을 결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번 코레일의 결정에 롯데관광개발 등 민간 출자사들이 강하게 반발해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할 것으로 보여 상당 기간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부이촌동 주민들도 용산개발 실패에 따른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집단 소송을 벌일 예정이다.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