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라산 · 바람 · 파도…제주와 하나된 신명난 붓춤 한판
‘ 탐라국 화가’강요배 5년만에 학고재서 개인전
삶이 녹아든 제주 풍경 담아
신비롭고 명상적인 신작 눈길



화가 강요배(61·사진)에게는 늘 두 개의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하나는 ‘탐라국 화가’, 또 하나는 ‘민중미술가’다.

제주 출신으로 서울대 미대를 나와 잠시 서울생활을 했으나 22년째 제주에서 작업해온 그는 제주의 풍광을 그리기 때문에 제주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작가다. 또 그는 지식인으로서, 예술가로서 ‘사회와 밀착하는 예술’을 꿈꿨다. 누구도 선뜻 시도하지 못했던 ‘제주 4ㆍ3민중항쟁사’를 끈질긴 투혼 끝에 연작으로 완성해냈다. 이는 한국 현대역사화의 빛나는 한 성취다. 그런 그가 제주화가, 민중미술가의 고정된 틀을 훌쩍 뛰어넘고 있다

강요배의 새로운 면모를 만날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3월 27일부터 4월 21일까지 서울 소격동 학고재갤러리(대표 우찬규)에서 열리는 개인전을 통해 작가는 제주와 민중을 품되, 그 모두를 뛰어넘은 세계를 드러내고 있다. 5년 만에 갖는 이번 개인전의 출품작 40여점은 보다 추상 쪽으로 다가가 변화를 읽게 해 준다. 때문에 신작들은 적잖이 신비롭고, 명상적이다.

그간 강요배는 제주의 풍경을 차분하고 상징적인 어법들로 화폭에 담아왔다. 이번에도 칼바람이 부는 백록담, 잔설이 남은 한라산, 막걸리를 마시며 쓰다듬던 늙은 호박, 돌담 밑에 수줍게 핀 용설란, 노란 꽃등불 등을 구성지게 형상화했다.

특히 ‘파도와 총석’ ‘풍천’같은 대작에서는 완숙미가 느껴진다. 색채미가 돋보이는 작품들도 눈에 띈다. 푸른 명주실처럼 넘실대는 바다를 서정적으로 그린 ‘명주바다’를 비롯해 ‘자청비’ ‘암 중 홍’ 등이 그 예다. 바닷바람을 맞아 주홍빛 꽃잎이 부드럽게 찰랑이는 칸나를 전면에 배치한 ‘해 풍 홍’은 경쾌하면서도 사랑스럽다. 이렇듯 다채롭고 풍성한 작품들 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작품은 회화의 본질에, 자연의 근원으로 파고든 그림들이다.

‘움부리-백록담’도 역작이다. 마치 겸재가 그러했듯 높은 부감의 시선으로 산의 형상을 그리고, 그 형상 위에 흰 바람결이 활개치도록 한 그림에선 신령한 바람소리가 들릴 듯하다. 형(形)과 상(象) 위의 활개치는 바람결은 제주의 신화와 온전히 합일을 이룬 강요배가 추는 신명난 붓춤이다. 움부리 깊숙한 구멍에서 움움 움트는 바람은 제주의 온갖 생명을 일깨우는 소리다. 

강요배‘ 파도와 총석’. 수직 돌기둥 사이로 포효하듯 솟구치는 흰 포말이 장엄하다.                         [사진제공=학고재갤러리]

제주시 인근 귀덕리에 살며 작업하는 강요배는 “제주는 한반도에서도 가장 변방이죠. 하지만 저는 제주를 ‘우주의 배꼽’으로 생각해요. 환갑이 넘으니 유난히 고향을 더 타는 것 같아요”라고 했다. 강요배의 그림은 비록 풍경화이지만, 수천수만 탐라사람들의 삶과 궤적이 녹아들어 있는 듯하다. 바로 이 점이 강요배 회화의 남다른 맛이다.

작가는 “제주 북쪽 먼바다로부터 하늬바람이 불어오면 바다가 일렁이죠. 맵찬 칼바람에 살점을 깎인 팽나무가 검은 가지로 당당히 버티는 모습이며, 돌팍에 얽히고설킨 덩굴, 돌담 밑의 수선, 청보리 싹 등에서 느껴지는 다양한 풍광은 그야말로 황홀하죠”라고 했다.

‘그린다는 것은 곧 마음 공부’임을 절감한다는 작가는 왁자지껄한 공간 속 큰 소리보다 조용한 공간 속 작은 소리에 귀기울이며 미학의 근본에 가닿고 싶다는 소망을 피력했다. 드로잉 10여점도 함께 선보인다. (02)720-1524.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