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본인 교수, 한국의 근대화 뿌리찾기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한국의 근대사뿐 아니라 동아시아 근대사는 그 기점을 어디로 볼 것인가를 놓고 여전히 논란 중이다. 19세기를 분기점으로 일본의 제국주의화와 한국, 중국의 종속화라는 과정에서 파악하는 게 주류적 시각이었다면, 최근에는 이런 식민지적 시각에서 벗어나 17~18세기 실학운동에서 근대의 맹아를 찾으려는 시각 역시 단순 식민지사관 탈피라는 지적이 있다.

일본 역사학자로 성균관대에서 10년째 강의를 해오며 ‘동아시아 소농사회론’을 설파하고 있는 미야지마 히로시 교수는 16세기 이후의 동아시아를 근대로 봐야 한다는 주장을 편다.

소규모 자급자족 농민이 밀집해 살고 있던 동아시아는 대규모 부농 중심의 서구와는 다른 형태의 사회였으며, 그래서 근대화의 길도 달랐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명대에, 한국과 일본에서는 17세기께 성립한 동아시아 소농사회는 단순히 농업기술상의 변혁이나 농촌구조상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는 ‘소농사회론’의 각론 격이다. 양반의 존재양식, 신분제의 독특한 양상, 토지 소유와 신분과의 분리, 인구사와 가족사 등에 이르기까지 중국과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조선시대의 특징을 규명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한ㆍ중ㆍ일 동아시아 3개국의 근대는 ‘소농’을 기반으로 한 사회라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 중세 유럽의 영주계층이나 무굴제국 시기 인도의 자민다르와는 달리 소농에 대비되는 거대 토지 귀족이 없다는 점을 동아시아 근대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는다.

또 종래 고대-중세-근대라는 시대구분에 비판적이다. 서구사회에서 근대의 이행 전 단계인 봉건제가 동아시아에는 없다는 봉건제 부재론이다. 주희의 사상, 주자학을 동아시아 근대의 원천으로 본 점도 새롭다. 조선시대를 봉건사회로 규정하고 조선 후기를 봉건제 해체기로 보아온 주류역사학계에 대한 최근 비주류학자의 비판과 일맥상통한다.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