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평범한 샐러리맨,어째서 세계적 가구컬렉터가 됐을까
우리도 이런 ‘무언가에 미친 사람’이 필요하다. 미쳐도 제대로 미친 사람, 한가지에 깊고, 끈질기게, 또 진지하게 미친 사람 말이다. 한달 월급 4만엔 중 2만4000엔을 의자 수집에 쏟아부을 정도로 가구 디자인에 단단히 미쳤던 사람. 그가 바로 세계적인 가구컬렉터 오다 노리츠구(Oda Noritsugu,66) 도카이대 예술공학부 교수다. 일본 삿포로 외곽에 위치한 그의 가구창고에는 무려 1200점에 달하는 명품 가구들이 소장돼 있다. 그가 북유럽 가구예술을 이끌었던 핀 율(Finn Juhl 1912~89)을 소개하기 위해 서울에 왔다.

평범한 샐러리맨 출신의 오다 노리츠구 교수는 가구 디자인과 관련된 동서양 책자에 빠짐없이 등장한다. 가구 연구가로도 명성이 자자하다. 특히 개인이 수집한 의자 컬렉션에 있어선 세계 최고로 꼽힌다. 서울 통의동의 대림미술관(관장 이해욱)이 ‘핀 율 100주년 기념전’을 열며 그의 수집품만으로 전시를 꾸몄을 정도니 그 질과 양은 미루어 짐작이 간다.

대학을 나와 일러스트레이터로 일하던 오다 교수는 1970년초 잡지를 보다 우연히 덴마크 디자이너 핀 율의 ‘치프테인(추장) 체어’의 사진을 접했다. 온몸이 마비되듯 전율이 일었다. 그리곤 곧바로 핀 율 작품 탐사에 들어갔고, 기회가 닿는대로 가구를 모으기 시작했다.

급기야 덴마크 코펜하겐으로 날아간 그는 핀 율을 직접 만났는가 하면 연구에 연구를 거듭해 북유럽 가구에 대한 책과 도록을 7권이나 집필했다. 책 속의 섬세한 가구 일러스트레이션은 모두 그가 일일이 손으로 그린 것이다. 세계 각국의 가구 수집가들에게 ‘멘토’로 꼽히는 그는 그러나 ‘컬렉터’라 불리는 걸 못내 꺼려했다.

“내가 가구를 수집하는 것은 연구를 위해서다. 투자용이 아닌 것이다. 소장품들은 내게 퍼즐 조각이다. 이를 잘 맞춰 각 디자이너의 예술세계를 조망하고, 가구 디자인의 계보를 만드는 작업이 내겐 너무 흥미롭다. 앞으로 디자인뮤지엄을 만들어 이 오묘한 세계를 후대에 잘 알리고 싶다”.

오다는 40여년 전 핀 율의 ‘치프테인 체어’를 처음 본 순간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어찌나 기품있고, 위풍당당한지 몸살이 날 지경이었다. 치트페인 체어는 덴마크의 왕 프레데릭 9세가 앉아 더 유명해진 의자다. 그는 사진으로 봤던 치프테인 의자를 1년 후에나 직접 볼 수 있었다.

핀 율의 ‘No. 45’ 의자 또한 오다를 전율케 했다. 그는 “핀 율 의자 중 최고 걸작인 ‘No.45’는 우아한 팔걸이가 그야말로 디테일의 결정체다. 그 완벽한 디테일에 나는 완전히 포로가 됐다”고 했다. 실제로 ‘No.45’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현대 의자의 어머니’,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팔걸이를 지닌 의자’라 불린다. 미국 뉴욕의 UN본부에도 이 의자가 설치됐다.

오다는 의자를 모으다 보니 디자이너를 직접 만나고 싶어졌다고 했다.
"북유럽 가구의 전성기인 1950-60년대를 이끌었던 핀 율을 만나려 했는데 쉽지 않았다. 그가 사람을 안 만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열심히 모으고, 만든 가구 그림과 사진, 설계도면 700여점을 핀 율의 지인에게 보여주며 설득했다. 디자인 역사를 정리 중인데 비어있는 부분을 작가 육성으로 채워넣고 싶다고 설득한 것이다”. 그의 열정에 감동한 유럽 디자인계 사람들이 다리를 놔줘 핀 율을 만날 수 있었다.

사람들은 오다가 1200점에 달하는 명품가구를 컬렉션했으니 돈도 엄청 썼을 것이라 생각한다. 아니면 부모가 상당한 재력가였을 거라고 지레 짐작한다. 그러나 그는 직장생활 초기에는 월급의 반 이상을 가구 할부금으로 썼지만, 이후 대학교수가 된 뒤론 월급은 모두 아내에게 주고 그래픽디자인 청탁이나 원고료 수입으로 가구를 수집했다고 한다. 30,40년 전에는 지금처럼 가구가 비싸지 않았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그래서 그는 ‘돈보다도 관심과 열정이 더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한다.

그는 북유럽 가구에 특히 매료된 것은 스칸디나비아인들이 소재에 대해 정통하고, 기계를 잘 다뤄 간결하면서도 밀도높은 작품을 많이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추운 지역이라 ‘사람의 몸에 닿는 건 따뜻해야 한다’는 생각이 저변에 깔려 있는 점도 마음에 든다고 했다.

오다는 자신의 수집품을 자식들에겐 한점도 상속하지 않겠다고 애진작에 못을 박았다. 그의 컬렉션이 방대하고, 질도 높은 것으로 정평이 나면서 덴마크및 한국 등에서도 뮤지엄 설립에 대한 제의가 줄을 잇고 있다. 그러나 하나하나 힘들게 일본에 들여온 것인만큼 가능한 일본에 남겨두고 싶은 것이 그의 소망이다. 가구 중에서도 특히 의자에 집중하는 이유를 묻자 그는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 잠재된 욕망을 압축적으로 형상화된 게 의자라고 보기 때문”이라며 “미학적으로 완결성을 지닌 의자는 텅빈 공간에 그저 단 한점만 놓아도 공간을 충분히 아름다워 보이게 한다”고 했다.

오다는 그동안 모아온 소장품(의자 테이블 조명 캐비넷 식기류 도자기 등)을 700㎡(약 211.75평) 넓이의 창고에 보관한다. 공간을 3단으로 나눈 이곳에 1000여 점이 있다. 440㎡(약 133평) 크기의 자택 또한 미술관과 진배 없다. 의자 200점과 다양한 일상용품이 채워져 있다. 

그는 집에서 핀 율의 의자들을 즐겨 사용한다. 그의 강아지 역시 핀 율 의자를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특히 다리를 떼어내면 마치 헨리 무어 조각처럼 부드러운 곡선을 지닌 펠리칸 체어는 그의 애견이 늘 앉아있어 "강아지털이 수북한 강아지 체어가 됐다"고 전했다.

그는 요즘들어 패스트푸드, 패스트패션가 유행하듯 가구 또한 값싼 걸 사서 쓰다가, 싫증이 나면 내다버리는 추세를 못내 못마땅해 했다. 그런 싸구려 가구는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만들어졌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재질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 또 잠시 쓰다가 내버릴 경우 환경도 파괴되니 물건을 하나 살 때도 나만의 구매철학을 갖고 신중하게 임할 것을 강조했다. 무엇보다 ’좋은 물건을 보는 심미안’을 기르는 게 핵심이며, 당장은 버겁더라고 좋은 가구를 구해 소중히 아껴 쓰면 애착도 생기고 대대로 물려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건축가 출신인 핀 율이 혁신적인 디자인을 시도한 점이 무엇보다 마음에 든다고 했다. 시장에 내다팔 요량이 아니었던 까닭이기도 했고, 의자의 기능적 구조를 잘 몰라 핀율은 기존 디자이너들 사이에 ’구조음치’로 불리웠지만 오히려 가구에 대한 고정관념이 없기 때문에 대단히 창의적이고, 획기적인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고 평했다. 밀라노트리엔날레에서 5개부문에 걸쳐 상을 휩쓴 것도 이 때문이다. 

예컨대 의자 몸체와 다리를 서로 연결해주는 지지대를 대각선으로 쓰거나 프레임과 시트(엉덩이 받침대) 부분에 일부러 거리를 두어 ‘공중에 떠 있는 듯한 구조’를 창안한 것은 핀 율이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또 단아하면서도 귀족적이며, 보는 이로 하여금 기분 좋은 긴장감에 빠져들게 하는 것도 핀 율 디자인의 매력이라고 덧붙였다.

20대 청년기에 수집을 시작해 한평생 가구에 푹 빠져 지내며 오늘날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1200여점의 가구를 수집한 오다는 "팍팍한 일상에 쫓기는 현대인들이 생활 속에서 디자인의 가치를 알아보며, 예리한 심미안을 조금씩 키워갔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사진제공=대림미술관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