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지주사 저축은행 인수에는 참여했지만 실제 인수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KB금융, 하나금융 등 금융지주사들이 영업정지된 대전, 보해, 전주저축은행 입찰에 참여해 실제 인수로 이어질 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주사들이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하기는 했지만 매각예정인 저축은행에 ‘파악되지 않는 부실’이 많을 것이란 판단에 따라 인수가액을 낮춰 제시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에도 주인찾기 작업에 성공을 장담하기는 이르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14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전일 마감한 3개 저축은행 일괄 매각에 하나금융지주, KB금융지주 등 2곳이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예보는 14일부터 3주간 매각예정인 저축은행 3곳을 대상으로 매수자 실사를 실시한 뒤 다음달 초 본 입찰로 우선협상대상자를 결정한다.
앞서 하나와 KB금융은 신한금융과 함께 지난 달 ‘중앙부산+부산2+도민저축은행’ 패키지지 매각에도 LOI를 제출했지만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지 못했다. 입찰에 참여한 경쟁사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자금지원을 예보에 요청한 때문이다.
이와관련, 금융권에서는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금융지주사들이 이번에도 예보의 자금지원 요청액을 적게 써내진 않았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우선협상대상자 결정은 입찰자가 제안하는 자산 부채 인수범위와 순자산부족액에 대한 자금지원 요청액이 관건이다. 최소비용원칙에 따라 자금지원 요청액을 적게 써낼 수록 인수의지가 높은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중앙부산저축은행이 포함된 패키지 매각 때도 금융지주사 가운데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은 2000억원대의 금액을 제시했고 KB금융지주는 3000억원대의 예보 자금지원 요청액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대신증권, 키움증권 등은 1000억원 대의 요청액을 써내 각각 우선협상대상자, 차순위 협상대상자가 됐다.
금융지주사의 인수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하나는 금융지주사들이 정부의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돕는다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어쩔 수 없이 떠밀려 나온 것으로 인수 의지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다. 또 수신기능을 수행할 지점이 필요한 증권사와 달리 은행을 통해 이미 넓은 지점망을 갖추고 있는 금융지주사 입장에서는 부실 저축은행이 큰 매력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도 꼽힌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의 부실 규모는 파악이 안 될 정도”라며 “당장 실제 인수 비용은 2000억~3000억원이 들어간다 해도 이후 추가 비용을 감안해 자금지원 요청액을 써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지주사들이 실사를 거친 후 최종 인수여부를 판단하겠지만 예보가 받아들일 수 없는 수준이라면 유찰될 가능성도 있다. 일괄 매각이 무산되면 개별 입찰로 다시 추진된다. 그러나 개별 입찰까지 가게 되면 다시 일정이 지연되며 9월 중 영업재개가 가능할지도 불투명하다.
<윤정현 기자 @donttouchme01>
/h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