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과자값 7~8% 인상"...실제 마트에서는?
최근 제과업체들이 과자의 출고가(소매 유통사공급가)를 올리면서,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는 과자의 가격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유통업체에 따르면 과자의 소매가 인상률이 출고가의 2배 이상에 달하는 등, 소매가가 출고가에 비해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초 제과업체는 출고가 인상폭이 평균 10% 안팎이라고 발표했지만, 소매 유통사로 넘어오면서 인상폭이 더 뛰어 소비자들의 부담은 커지고 있다.

과자 가격은 지난해 7월 시행된 오픈 프라이스(제조업체가 판매가격을 정하지 않고 유통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방식) 제도가 시행되면서 소매가 결정에 유통사의 재량권이 커진 탓이다.

A대형마트의 경우 크라운 산도(323g)를 3180원에서 3520원으로 10.7%, 롯데제과 마가렛트(342g)는 3510원에서 4160원으로 18.5% 인상했다. 이들 과자의 출고가 인상률은 각각 8%와 11%인 것으로 조사됐다. 출고가가 7% 정도 오른 크라운 조리퐁은 이 대형마트에서 소매가가 1980원에서 2240원으로 13.1% 뛰었다.

B대형마트는 크라운 산도를 12.1% 올렸고, 조리퐁의 소매가를 출고가 인상률의 배가 넘는 16.7% 올려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출고가 인상률이 7.7%인 새우깡은 B대형마트에서 소매가가 23.2%나 올랐으며 마가렛트는 18.2% 값이 뛰었다.

C대형마트도 마찬가지로 마가렛트의 소매가를 17.2%, 죠리퐁을 16.7% 인상했다. 출고가가 25% 올랐던 오리온 초코칩쿠키는 소매가가 28.6% 가량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D편의점은 조리퐁과 새우깡의 가격을 각각 14.3%, 12.5% 올렸고 E편의점도 이들 제품을 각각 16.7%, 12.5% 올려 받았다.

일부 제품은 출고가 인상에도 가격이 변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한꺼번에 소매 가격을 인상하면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여론이 나빠질 수 있어 단계적으로 출고가가 인상분을 소매가격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