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추가분담금 놓고 지주택 신용힐스테이트 사분오열 왜
8000만원 추가비용 놓고 갈등 조합장 해임 파열음
오는 25일 입주 앞두고 조합원간 갈등 확산 먹구름
10년을 기다란 광주의 한 지역주택조합아파트의 입주를 코앞에 두고 8000여만원의 추가분담금이 나오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서인주 기자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원수에게나 권해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지역주택조합을 이르는 표현이다.

조합원을 모집하고 땅을 사들인 후 아파트를 짓는 방식인데 전국적으로 성공확률이 20%가 채 안되는 사업이다. 토지매입이 쉽지 않은데다 조합과 업무대행사의 부정비리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수년째 제자리 걸음만하다 파산하는 경우도 많다.

한마디로 리스크가 큰 사업이다.

하지만 잘되면 시세보다 절반가량 저렴한 가격에 내집을 마련 할 수 있다. 이때문에 광주를 비롯한 전국 곳곳이 지주택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번 가입하면 탈퇴도 어려운데다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의 추가분담금 족쇄를 찰 수 있다. 이웃사촌이 실제 원수가 되기도 한다.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이유다.

오는 26일 입주를 앞둔 광주 북구 지역주택조합 신용힐스테이트가 8000만원 가량의 추가분담금을 놓고 내홍을 겪고 있다. 과도한 분담금과 미분양 해소 등을 이유로 일부 조합원들이 비대위를 꾸려 조합장 해임 등 강경대응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집행부가 바뀌더라도 미분양 해소, 추가분담금, 입주지연 문제는 쉽게 풀리지 않을 전망이다.

광주시 북구 신용동 신용힐스테이트 전경/서인주 기자

조합은 지난 1월 7600만원의 추가분납금을 조합원들에게 요구했다. 당초 3월 25일 준공, 3월 26일 입주를 앞두고 있었다. 조합은 3월 15일까지 추가분납금 납부를 요구했다.

이를두고 신뢰가 깨지기 시작했다. 조합원들은 지난해 특화공사비 3100만원 납부 후 더이상 추가분담금은 없다고 생각했는데 날벼락이 떨어진 셈이다.

원인은 대형평수 위주의 일반분양 물량이 고분양가를 이유로 미분양 됐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조합측은 전세대 15%할인카드를 꺼내 들었다. 많게는 1억가량 아파트값을 깍아주는 셈이다. 이때문에 힐스테이트 브랜드 최초로 할인분양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갈등은 확산됐고 결국 비상대책위가 꾸려졌다.

“추가분담금 미납시 입주 불가능”

하지만 시공사 현대건설은 비대위와 각을 세우고 있다. 공사비 등을 받지 못할 경우 아파트 열쇠를 내주지 않겠다는 강경 입장이다. 심할 경우 시공사가 입주를 막고 유치권을 행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입주시까지 필요한 비용은 공사비 증액 추가분담금 1900만원, 미분양 세대 할인 분양 선납금 1900만원, 미분양 세대 완판시 반환금 3800만원이다.

입주를 위해 기존주택을 처리한 입주민들은 노심초사하고 있다. 오갈곳이 없어진 상황이다.

3월 입주를 앞둔 신용힐스테이트는 현재 조경, 도로, 주차장 등 막바지 공사를 진행중이다. 서인주 기자

입주예정자 A씨는 “부모님과 함께 입주하려고 살던 집까지 팔았는데 막상 입주지연이 예상되니 막막하다. 게다가 추가분담금에 조합원간 갈등에 누굴 믿어야 할지 한마디로 엉망진창” 이라며 “신뢰를 잃은 조합장을 해임하는 것은 좋은데 그만큼 입주가 지연되고 절차가 늦어질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비대위는 오는 28일 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임시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현 조합장 해임과 새 집행부 선출, 미지급 공사비 납부, 4월초 입주 등이 안건이다. 임시총회가 부결되고 집행부가 그대로 유지될 경우 현 집행부는 30일 임시총회를 열어 기존 추가분담금 납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비대위 측은 “국공유지매입 등 자금 관리와 관련해 현 조합 집행부는 조합원들의 신뢰를 잃었다” 며 “미분양 세대 소화를 위한 어떠한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는데 추가분담금 절반을 돌려 받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조합측 관계자는 “비대위 측이 제시한 추가분담금은 처음엔 3000만원이었다가 지금은 점점 늘어나 결국 당초 조합이 제시한 금액과 비슷한 수준까지 늘어났다” 며 “집행부가 바뀌더라도 인수인계와 계약이나 서류 변경을 고려하면 입주가 더 지연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시공사에 내야 할 지체상환금이 늘어나면 원래 추가분담금보다 더한 부담이 조합원들에게 생길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신용힐스테이트는 지역주택조합의 모범사례로 알려진 곳이다. 최근 미분양에 따른 추가 분담금을 놓고 조합과 업무대행사간 신경전이 펼쳐지고 있다. 서인주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