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우조선사태, 이제부터 시작”…당면과제는 무엇? [비즈360]
대우조선 파업중단 후 3대 과제
손배소·정상화·민영화
23일 오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제1도크에서 하청지회의 불법 점거로 진수가 중단된 지 5주만에 30만t급 초대형원유운반선(VLCC)이 성공적으로 진수 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제공]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국내 3대 조선사 중 하나인 대우조선해양의 하청노조 파업 협상이 50여일만에 극적 타결됐다. 하지만 대우조선 사태는 이제부터라는 관측이 나온다. 우선 협상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파업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문제를 놓고 정부와 회사는 원칙에 따른 엄정 대응을 예고하고 있는 반면 노조는 난색을 표하며 대치하고 있다. 여기에 납기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속한 작업 정상화 과제도 발등의 불이다. 또 이번 파업을 계기로 한 때 대우조선의 파산 검토까지 이뤄진 만큼 2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대우조선의 채권단 체제 졸업과 분리매각 등을 통한 민영화 추진도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원청인 대우조선과 정부는 이번 하청 노사 합의와는 별개로 원칙에 따라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대우조선은 파업이 종료된 지난 22일 별도 입장발표를 통해 “부제소합의에 대한 오해가 있다”며 “당사는 파업 과정에서 발생한 제반 문제에 대해 법과 원칙의 기조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도 지난 24일 “손해를 본 곳은 대우조선과 원청 회사로, 하청 노조에 의해 사업장을 50여 일 동안 가동 못 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

하청노사인 민주노총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와 대우조선 사내협력사협의회는 지난 22일 ▷임금 4.5% 인상 ▷노조 전임자 인정 ▷일부 조합원 고용 승계 등을 골자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노조에서 손해배상 청구 등 소송을 취하를 요구하면서 노조 지도부 일부에게만 민형사상 책임을 묻는 방향으로 추후 조율하기로 했다. 그러나 협력사 측에서는 민형사 면책을 두고 의견이 나뉘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별도로 대우조선은 파업기간 밀린 공정 정상화에 바로 들어갔다. 약 5주 동안 멈춰섰던 제 1도크에 바닷물을 채우고 30만t급 초대형 원유 운반선(VLCC) 진수 작업을 마무리, 후반 작업 및 시운전 등을 거쳐 선주에게 인도할 예정이다. 1도크는 선박 4척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는 옥포조선소 내 가장 큰 생산시설이다.

1도크가 멈춰서면서 다른 생산 공정에도 차질이 발생, 일부 직원들이 20일 안팎 휴업하는 등 선박 11척의 납기를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통상 조선소 측 귀책 사유로 인도 지연이 발생하면 조선소가 발주사에 하루에 수천만~수억원의 지체보상금을 지급하도록 계약한다.

대우조선은 여름 휴가 기간에도 상당수 직원들이 출근해 작업하는 등 지연된 공정을 만회하겠다는 계획이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지연된 생산 공정을 만회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투입할 예정”이라며 “납기 일정 준수를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업으로 8000억원 이상 손실이 발생하면서 이 기회에 대우조선의 경영도 정상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2년간 이어져온 채권단 관리 체제로는 대우조선의 자립경영이 현실적으로 어려워졌다는 판단에서다. 현재까지 대우조선에 투입된 공적자금은 약 12조원이지만 대우조선의 지난 1분기 부채비율이 500%를 넘는 등 재무구조가 크게 악화된 상태다.

올해 초 유럽연합(EU)에서 독과점 등을 이유로 현대중공업그룹의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의 기업 결합이 불허된 만큼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조선의 방산과 상선 부문을 분리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에 매각하기 어려운 전함과 잠수함을 생산하는 방산 부문을 떼내고 상선 부문을 해외기업까지 매각 후보군을 넓히는 등의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address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