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만든다던 위안부백서는 언제?
지난달 31일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위한 재단설립 준비위원회가 꾸려졌다. 지난해 12월 28일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합의 타결 이후 5개월여 만에 나온 첫 후속조치다. 합의 직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피해 할머니들 입장에서, 진정 그들이 원하는 지원’을 하기 위해 공을 들였다고 하니 한편으론 5개월밖에 걸리지 않은 신속한 움직임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같은 5개월이 길게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지난해 말 발간 예정이었던 위안부백서다. 어찌된 영문인지 감감무소식이다. 정부는 2013년 6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진상규명 및 기념사업 추진 민ㆍ관 TF’를 발족해 진상규명과 문제해결 방안을 연구했다. 

2014년 출범한 TF2기는 2015년 말 발간 예정이었던 위안부백서 자문을 맡았다. 지난해는 광복 70주년이자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으로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 위안부 실태를 알리는 적기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이미 TF가 작성한 최종보고서는 지난해 말 정부에 제출된 상태다.

최종보고서는 지금쯤 어디 있을까. 정부 당국자는 “검토 중”이라는 말만 되풀이했다. 5개월이 넘도록 무엇을 그렇게 검토할 게 많은지 묻자 학술적인 내용이라서 전문가들을 통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이미 전문가들이 자료와 조사를 토대로 만든 최종보고서를 누가 검토한다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TF에 참여한 한 교수는 “지난해 말 이후 백서와 관련한 어떤 연락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위안부 합의에 비판적인 인물이다. 또 형식에 맞게 감수도 해야 하고 교정을 보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이 담당자는 설명했다. 편집과 교정에 5개월은 너무 길다.

자연스레 정부가 백서 발간을 유야무야 취소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된다. 백서 발간에 참여한 민간위원은 “위안부 동원 과정에서의 강제성 같은, 일본이 부정하는 부분이 많이 포함됐다”며 “정부 입장에서는 위안부 문제가 마무리 국면에 들어간 상황에서 긁어부스럼을 만들지 않으려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백서 발간 작업에는 5억원이 투입됐다.

예산도 예산이지만 진실이 사라지지 않을까, 이 민간위원은 안타까워했다.

김우영 정치섹션 정치팀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