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예고에서 기습으로 바뀐 북한 핵도발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북한의 핵실험을 통한 도발 방식이 달라지고 있다.

기존에는 핵실험을 예고한 뒤 실시했지만, 올해부터 핵실험 사전 예고가 사라졌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집권 후 핵실험 사전예고가 사라진 건 아니다. 북한은 김정은 집권 후인 2013년 2월(12일 오전 11시57분) 제3차 핵실험 당시에는 사전 예고를 했지만, 올해 1월(6일 오전 10시30분) 실시한 4차 핵실험에서는 예고를 하지 않았다.

김정일 집권기에 감행된 1차 핵실험(2006년 10월9일 오전 10시36분), 2차 핵실험(2009년 5월25일 오전 9시54분) 뿐 아니라 김정은 집권기 들어서도 초기에는 핵실험 전 사전 예고를 했지만 나중에 예고 없이 기습적으로 하는 식으로 ‘스타일’이 바뀐 것이다.

북한은 핵실험을 앞두고 우리 외교부 격인 외무성의 성명 형식으로 주로 핵실험을 예고했다.

1차 핵실험 전에는 2006년 10월3일 외무성 성명에서 “핵시험을 하게 된다”며 이를 예고했다.

2차 핵실험 전에는 2009년 4월14일 외무성 성명을 통해 “자위적 핵억제력 강화”를 언급하며 핵실험을 시사했고, 같은해 4월29일 다시 외무성 성명을 통해 “자위적 조치로 핵시험”을 한다고 예고했다.


3차 핵실험 전에는 2013년 1월23일 외무성 성명에서 “핵억제력을 포함한 임의의 물리적 대응조치”를 언급하며 핵실험을 시사했다. 이어 다음날인 24일에는 국방위원회 성명을 통해 “우리가 진행할 핵시험도 미국을 겨냥”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핵실험을 예고했다.

그러나 올해 1월 6일 실시된 4차 핵실험을 앞두고는 이런 북한의 핵실험 사전예고 방식이 사라졌다.

우리 군 당국은 지난해부터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해 왔다. 그러나 북한 측이 새해 벽두인 1월6일 갑자기 핵실험을 감행하자 상당한 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군은 북한의 핵실험 관련 기만 전술이 상당히 발전해 “언제든 핵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규정하고 하루 24시간 내내 북한의 이상 동향에 대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북한의 5차 핵실험 정황이 속속 포착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북한은 추가 핵실험에 대한 사전 예고를 하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이번에도 북한이 사전 예고 없이 기습적으로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북한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지난 4차 핵실험 당시 사전 예고를 하지 않은 것은 그만큼 북한 정권의 핵실험에 대한 의지가 강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만약 당시에 북한이 핵실험을 사전 예고했다면 중국 등 주변국과 상당한 마찰을 겪어 핵실험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해 예고 없이 핵실험을 하고 그 뒤 문제는 나중에 해결하는 방식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의 추가 5차 핵실험은 오는 5월 초 36년만에 치러지는 조선노동당 제7차 당대회를 앞두고 전격적으로 단행할 가능성 등이 거론되고 있다. 당대회 전 실시한다면 북한 인민군 창건기념일인 오는 25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soohan@heraldcorp.com



<사진>지하핵실험 장면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