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金<김종인 대표>의 정치’ 100일…고비마다 회심의 한수
더민주 합류 이후 되돌아보니


지난 1월 14일. 국회가 온종일 들썩인 그 날이다.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을 택했다. 새누리당은 “대어(大漁)를 놓쳤다”며 무릎을 쳤고, 한편으론 “함께 일하기 힘든 독불장군”이라며 고개를 흔들기도 했다.

김종인의 정치는 아슬아슬한 승부수다. 때론 먼저 논란을 만들고, 그러면서도 태연하게 고비마다 국면을 전환하는 ‘한 수’를 내놓는다. 필요하다면 고개를 숙이기도 하고, 또 필요하다면 ‘협박’에 가까운 사퇴 의사까지 내놓는다. 그러곤 결국 원하는 바를 취한다. 


22일로 김 대표는 더민주에 합류한 지 정확히 100일째를 맞이한다. 그간 우여곡절이 많았다.

출발부터 내부 반발이 거셌다. 당장 전두환 정권에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 참여한 이력을 두고 논란이 불거졌다. 김 대표는 정면대응했다. 취임 첫 행보로 광주를 찾아 “광주 분들께 죄송하다”며 공개 사과했다. 5ㆍ18 묘역에선 무릎을 꿇고 참배했다.

북한 핵실험 등 총선을 앞두고 대북 변수가 터지자 ‘북한 궤멸론(2월 9일)’을 꺼낸 것도 김 대표다. 더민주의 금기를 깨며 보수층으로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노림수였다. 정체성 논란이 일었지만 김 대표는 굽히지 않았다. “더민주가 달라졌다”는 평가에 당내 반발도 한풀 기세가 꺾였다.

필리버스터 정국을 마무리한 것도 김 대표다. 3월 1일 필리버스터 종료를 공식적으로 요구했고, 이에 당내 강경파 의원이 정면 반대했다. 김 대표가 꺼낸 카드는 ‘야권통합’이다. 그는 “필리버스터를 계기로 야권이 단합된 모습을 보여야 한다. 야권 통합에 동참하자는 제의를 드린다”고 밝혔다. 세간의 관심은 야권통합으로 옮겨졌다. 필리버스터 종료에 따른 부담을 덜게 된 카드였다.

김 대표의 승부수는 비례대표 논란에서 절정에 다다랐다. 3월 20일 비례대표 2번에 이름을 올리면서 ‘셀프 공천’이란 반발에 직면마자 김 대표는 곧바로 당부를 거부하고 칩거에 들어갔다. “그따위 대접하는 정당에 일할 생각이 추호도 없다”며 사퇴를 시사하는 등 강수를 뒀다.

여지가 없는 맞대응에 더민주는 ‘읍소모드’로 전환했다. 문 전 대표가 급히 상경해 김 대표를 만났고, 비대위원들은 사의를 표명했다. 3일 뒤, 김 대표는 당 잔류를 공식 선언했고, 비례대표 2번을 얻어냈다.

총선 승리 이후 당권을 두고 김 대표 합의추대론이 불거지고 당내 반발이 가시화되자, 김 대표는 지난 20일 ‘구조조정’ 카드를 꺼냈다. 여권을 제치고 구조조정 화두를 선점한 카드였다. 합의추대 논란도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 김 대표의 승부수 정치는 언제까지, 어디까지 이어질까. 그는 이제 100일 정치를 끝냈다. 그리고 내년 대선까진 608일이 남았다.

김상수 기자/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