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멍뚫린 바다 안전…정부는 뭐했나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 바다 안전에 큰 구멍이 뚫렸다. 잇따라 기록적인 해양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바다에 기름이 유출돼 해양환경을 오염시키고 어민의 생업을 위협한데 이어 급기야 여객선 전복 사고까지 벌어져 꽃다운 학생들의 목숨을 앗아가기에 이르렀다. 정부는 지속적으로 해양사고 안전 계획을 내놓고 있지만 사고 예방에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여객선 침수ㆍ전복사고 수습 이후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는다는 방침이다.

17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들어 대형 해양사고가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

한국의 해안은 기름유출로 몸살을 앓았다. 지난 1월 31일 영국에서 출항한 싱가포르 국적 유조선 ‘우이산호’는 GS칼텍스 2부두ㆍ송유관 잔교(선박을 육지에 대기 위한 접안 시설)를 들이받았다.이 사고로 파손된 송유관에 남은 원유가 유출됐다. 유출된 양은 원유와 나프타, 유성 혼합물을 합쳐 무려 16만4000ℓ에 달했다. 관련자 8명이 사법처리됐고, 방제작업에만 두 달이 걸렸다. 사고 수습과정에서 윤진숙 전 해수부 장관이 경질되기도 했다.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인 지난 2월 15일에는 부산 태종대 남단 5㎞ 해상에서 8만t급 화물선 추돌사고가 벌어졌다. 이로인해 벙커C유 23만7000ℓ가 부산 앞바다에 쏟아졌다.

이 두 사고에 대한 피해자 보상 작업 등은 아직 마무리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런 와중에 온 국민을 비탄에 빠뜨린 여객선 ‘세월호’ 전복사고가 전라남도 진도군 인근 해안에서 벌어진 것이다.

지난해 해양사고는 638건으로 2012년 726건에 비해 12.1% 줄어들었고 해양사고에 따른 사망ㆍ실종자 수는 97명을 기록해 1983년(75명)이후 21년만에 최저수치를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올들어 대형 사고가 연이어 벌어지면서 해양안전에 다시 비상이 걸렸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월 발표한 ‘2014년 해사안전계획’을 통해 유류오염사고 재발을 방지하고 마리나 이용자에 대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키로 한 바 있다. 또 예방기능 강화, 안전교육 전문화 및 대중화, 바다이용자에 대한 맞춤형 안전관리 등을 추진키로 하고 위해 올해 5402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번 여객선 전복사고는 정부의 안전 대책의 실효성에 커다란 물음표를 그리게 했다. 특히 한번 발생하면 엄청난 피해를 불러오는 해양사고에 대한 예방 대책이 미흡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세월호 침수ㆍ전복사고에 대한 수색ㆍ구조활동 및 사고원인 조사를 우선적으로 시행한 이후 사고 재발방지대책을 재차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이주영 해수부 장관은 사고가 발생한 지난 16일 오후 실종자 가족들이 모인 진도 실내체육관을 방문해 “해수부 장관으로서 큰 책임을 통감한다”며 실종자 수색 및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정부 관계자는 “해상교통량 증가와 해양관광 및 레저의 다변화, 기상이변 등의 요인으로 해상 안전요건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지속적인 사고감소를 위한 예방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