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계 주식시장 시총 금융위기후 최고치 육박..한국 시장도 동참하나
[헤럴드경제=이태형기자] 세계 주요국이 금융 완화 정책을 펼치면서 세계 주식시장의 시가 총액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에 육박했다.

세계 시장과 탈동조화(디커플링)를 보였던 한국 시장도 최근의 엔저 완화를 기회로 이에 동참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세계거래소연맹(WFE)의 20개 거래소 시가총액이 지난 20일 현재 미국의 18조 달러를 비롯해 총 55조1000억 달러로 금융위기 이후 최저였던 2009년 3월9일(25조5000억 달러)의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이날 세계 시총은 금융위기 이후 최고인 2011년 5월1일(56조1000억 달러)의 98.2% 수준이며, 역대 최고였던 2007년 11월6일(62조3000억 달러)과 비교해서도 88.4%까지 올라왔다.

최근 세계 경기 회복으로 위험 자산 선호현상이 증가했고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서 양적 완화로 유동성을 공급하면서 지난해 하반기부터 세계 주요국 증시가 빠른 속도로 상승하면서 시가총액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그동안 ‘나홀로 약세’를 보이던 한국 주식시장이 주요국 주식시장의 강세에 동참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의 수익률을 비교할 때 S&P 500지수가 5.04%의 수익률을 보인 반면 코스피는 -1.76%에 불과했다.

한국 주식시장은 시가총액이 1조 1000억 달러로 세계 증시의 2.0%를 차지한다. 올해 초 엔화약세ㆍ원화강세라는 환율 리스크에 노출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았으나 최근 엔저 강도가 둔화하면서 코스피 2000선 안착이 예상되는 등 반등의 기회를 잡고 있다.

우선 외국인이 매수로 돌아선 점이 긍정적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이달 들어 지난 22일까지 총 15거래일 중 3거래일만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글로벌 유동성 확대 기조가 상반기 내내 이어질 가능성, 중국의 완화적 통화기조, 새 정부 출범 후 경기부양책 등 여러 모멘텀으로 인해 국내 경기사이클이 2분기부터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다만 미국의 정부 예산 자동감축(시퀘스터) 발동 여부, 이탈리아 총선, 일본은행 총재 지명 이슈 등 주요국들의 정책 리스크가 코스피 2000선 안착 뒤의 추세적 상승에 변수로 꼽힌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