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제야욕 상징’ 조선총독부 청사 상세도 공개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일제가 식민통치의 핵심인 조선총독부와 전국 경찰서를 짓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한 상세도와 표준 건축도면 등이 공개됐다.

8일 국가기록원이 발간한 ‘일제시기 건축도면6’ 해제집에는 조선총독부 청사의 신축 당시 모습을 담은 도면이 실렸다.조선총독부는 일제가 1916년 경복궁 내에 착공해 1926년 완공했다. 정부수립 후 대통령 집무실과 주요 행정부처가 들어섰다가 1986년 23개 전시실을 갖춘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개조됐으며, 1995년 8ㆍ15광복 50주년을 맞아 철거됐다. 조선총독부 청사의 세부구조와 입단면 상세도에서는 그동안 확인이 어려웠던 청사 신축 당시의 모습을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청사의 외부입면 상세도와 중앙홀 입면상세도, 총독실 설계도 등에 나타난 모습은 일제가 식민통치의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 청사 입지 뿐 아니라 내부 설계와 공간구성까지 매우 치밀하게 계획했음을 보여준다고 기록원은 설명했다.


본관 외에도 기관실 등 부속건물과 추가로 지어진 별관 도면이 공개돼 신축 이후의 운영상황을 알 수 있다.

조선총독부 외에 일제강점 초기 식민통치의 핵심이었던 치안체계 확립을 위해 전국의 경찰서를 표준화된 도면으로 건축한 것도 이번 해제집을 통해 처음 확인됐다. 전국 경찰서 수는 1910년 99곳에서 1920년 244곳으로 급증했는데, 전 지역에 등급별ㆍ시기별로 공통의 도면이 사용됐다.

광화문 앞 조선시대 육조거리에 입지했던 경찰관강습소, 경기도 순사교습소, 경찰참고관과 조선시대 어의궁(현 서울지방경찰청) 자리에 들어선 피복창고 등 치안지원시설 도면도 담겨 있다.


발간된 책자는 국ㆍ공립 도서관과 관련 학계에 배포되며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http://contents.archives.go.kr)을 통해 온라인상에서도 볼 수 있다.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이번 해제집을 통해 근대 건축사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일제 식민통치 실상을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