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주 해묵은 노선투쟁 돌출…‘한·EU FTA’ 처리 불투명
원내대표 경선으로 불똥 튈듯
한ㆍ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국회 처리 문제가 민주당 내 해묵은 노선투쟁의 기폭제로 떠올랐다.

4일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격론을 벌였으나 손학규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를 제외하고 최고위원 전원이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정동영ㆍ천정배 최고위원 등 비주류는 “비준안이 처리되면 지난해 11월 소상공인 보호를 위해 제정된 유통산업발전법(SSM 규제법)이 무력화하고 야권 통합에도 걸림돌이 된다”면서 처리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손학규 대표의 핵심 측근인 김부겸 의원도 4일 KBS 라디오에 출연해 “한ㆍEU FTA 비준안 처리 문제가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찬반이 팽팽히 맞서면서 민주당 안팎에선 정체성 논란의 뇌관이 터지는 게 아니냐는 시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손 대표가 새출발의 일성으로 내놓은 당 쇄신론과 복잡한 정치지형, 원내대표 경선까지 삼각축이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차기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사표를 던진 유선호(왼쪽 두번째부터), 강봉균, 김진표 의원이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서약식에서 보도진을 향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경선은 13일 열린다. 양동출 기자/dcyang@heraldcorp.com
특히 분당을 재보선 승리를 계기로 민주당 내부에선 서민이 아닌 중산층의 민주당 선택이라는 점에 주목, 향후 우향우 쪽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주류도 민주희망쇄신연대(쇄신연대) 강화를 통해 노선투쟁의 불씨 키우기에 주력하고 있다. 손 대표의 견제라는 이중 포석도 깔려 있다.

한ㆍEU FTA 비준안 처리를 둘러싼 갈등의 불씨는 곧바로 13일 치러질 원내대표 경선으로 옮겨붙고 있다.

강봉균 의원은 최근 각종 발언에서 무상보육ㆍ복지ㆍ교육 등에서 ‘무상’이라는 표현을 빼자는 논리를 펴고 있다. 대선 승리를 위해 외연을 넓히는 게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반면 유선호 의원은 진보 서민에 초점을 두고 정체성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김진표 의원은 서민 중산층에 무게를 뒀다.

한 핵심 당직자는 “원내대표 경선 과정에서 정체성 공방이 거세지면 향후 손 대표의 쇄신론 방향도 크게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심형준 기자/cerj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