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토뉴스]울진 죽변 해안변 척박한 모래 위의 연분홍 갯메꽃 '활짝'
이미지중앙

[
헤럴드 대구경북=김성권 기자] 초여름의 시작인 절기상 소만(小滿)을 하루 지난 21일, 경북 울진군 죽변면에 있는국립해양과학관 인근 바닷가 모래펄 위에 기다란 넝쿨로 무리 지어 손에 손을 꼭 잡은 연분홍 꽃을 발견하게 된다.

연분홍색의 미묘한 이 꽃의 이름이 '갯메꽃'이다. 바닷가에 살아서 메꽃 앞에 ''이 붙었다.

모래알 사이로 뿌리를 내리는 갯메꽃은 아침에 피었다 저녁이면 진다.

갯메꽃은 강인한 생명력으로 바닷가의 모래펄, 바위 틈새 등 척박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이미지중앙
.
이미지중앙

바닷가의 물이 잘 빠지는 모래 땅속에서 퉁퉁한 줄기를 뻗으며 자라고, 모래땅 위로는 넝쿨 지어 길게 해변을 뻗어 나간다. 국토의 삼면이 바다와 접해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전 세계의 온대 및 아열대 지역의 바닷가에서도 갯메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꽃은 연한 분홍색으로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는데 5월이 되면 잎겨드랑이에서 잎보다 길게 올라와 늦은 것은 7월까지도 볼 수 있다. 8월이 되면 둥그런 열매가 달리고 그 안에는 단단하고 검은 씨앗이 들어있다.

성큼 다가온 여름, 맑은 햇살 아래 푸른 해변에서 아름다운 보석같은 갯메꽃은 해양과학관을 찾은 손님에게 인사하고 있다.(사진=김성권 기자)

ksg@heraldcorp.com












[헤럴드 대구경북=김성권 기자] 초여름의 시작인 절기상 소만("
}
]
}
,
{
"cp": "01DAAB74809008900000003B",
"ch": [
{
"t": "小滿)을 하루 지난 21일 경북 울진군 죽변면에 있는국립해양과학관 인근 "
}
]
}
,
{
"cp": "01DAAB74809008900000003C",
"ch": [
{
"t": "바닷가 모래펄 위에 기다란 넝쿨로 무리 지어 손에 손을 꼭 잡은 연분홍 꽃을 발견하게 된다. "
}
]
}
]
},
"01DAAB74809008900000002B": {
"np": "01DAAB74809008900000002C",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C",
"ch": [
{
"t": ""
}
]
}
]
},
"01DAAB74809008900000002C": {
"np": "01DAAB74809008900000002D",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C",
"ch": [
{
"t": "연분홍색의 미묘한 이 꽃의 이름이 \u0027갯메꽃\u0027이다. 바닷가에 살아서 메꽃 앞에 \u0027갯\u0027이 붙었다."
}
]
}
,
{
"cp": "01DAAB74809008900000003A",
"ch": [
{
"t": "\n"
}
]
}
,
{
"cp": "01DAAB74809008900000003C",
"ch": [
{
"t": ""
}
]
}
]
},
"01DAAB74809008900000002D": {
"np": "01DAAB74809008900000002E",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B",
"ch": [
{
"t": ""
}
]
}
]
},
"01DAAB74809008900000002E": {
"np": "01DAAB74809008900000002F",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D",
"ch": [
{
"t": "모래알 사이로 뿌리를 내리는 갯메꽃은 아침에 피었다 저녁이면 진다. "
}
]
}
]
},
"01DAAB74809008900000002F": {
"np": "01DAAB748090089000000030",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A",
"ch": [
{
"t": ""
}
]
}
]
},
"01DAAB748090089000000030": {
"np": "01DAAB748090089000000031",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C",
"ch": [
{
"t": "갯메꽃은 강인한 생명력으로 바닷가의 모래펄, 바위 틈새 등 척박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
}
]
}
]
},
"01DAAB748090089000000031": {
"np": "01DAAB748090089000000032",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C",
"ch": [
{
"t": ""
}
]
}
]
},
"01DAAB748090089000000032": {
"np": "01DAAB748090089000000033",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C",
"ch": [
{
"t": "바닷가의 물이 잘 빠지는 모래 땅속에서 퉁퉁한 줄기를 뻗으며 자라고, 모래땅 위로는 넝쿨 지어 길게 해변을 뻗어 나간다. 국토의 삼면이 바다와 접해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전 세계의 온대 및 아열대 지역의 바닷가에서도 갯메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
}
,
{
"cp": "01DAAB74809008900000003A",
"ch": [
{
"t": "\n"
}
]
}
,
{
"cp": "01DAAB74809008900000003C",
"ch": [
{
"t": "\n"
}
]
}
]
},
"01DAAB748090089000000033": {
"np": "01DAAB748090089000000034",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1",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A",
"ch": [
{
"t": "꽃은 연한 분홍색으로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는데 5월이 되면 잎겨드랑이에서 잎보다 길게 올라와 늦은 것은 7월까지도 볼 수 있다. 8월이 되면 둥그런 열매가 달리고 그 안에는 단단하고 검은 씨앗이 들어있다."
}
]
}
]
},
"01DAAB748090089000000034": {
"np": "",
"id": -2147483648,
"pp": "01DAAB748090089000000040",
"si": "01DAAB748090089000000043",
"bf": 0,
"ru": [
{
"cp": "01DAAB748090089000000038",
"ch": [
{
"t": ""
}
]
}
]
}
},
"sl": { },
"cs": {
"01DAAB748090089000000026": {
"cc": 2,
"ci": 1936024420,
"td": 0,
"tv": false,
"sc": 1134,
"ts": 8000,
"ms": "",
"os": "",
"gl": 0,
"gc": 0,
"gw": false,
"ns": 0,
"np": 0,
"ni": 0,
"nt": 0,
"ne": 0,
"hh": false,
"hf": false,
"hm": false,
"fb": false,
"hb": false,
"fi": false,
"hi": false,
"hp": false,
"he": false,
"sl": false,
"lr": 0,
"lc": 0,
"ld": 0,
"ls": 0,
"pp": {
"ls": false,
"wi": 59528,
"he": 84188,
"gt": 0,
"ml": 8504,
"mr": 8504,
"mt": 5668,
"mb": 4252,
"mh": 4252,
"mf": 4252,
"mg": 0
},
"fn": {
"at": 0,
"au": "",
"ap": "",
"ac": ")",
"as": false,
"ll": -1,
"lt": 1,
"lw": 1,
"lc": 0,
"sa": 850,
"sb": 567,
"st": 283
,
"nt": 0,
"nn": 1,
"pp": 0,
"pb": false
},
"en": {
"at": 0,
"au": "",
"ap": "",
"ac": ")",
"as": false,
"ll": -4,
"lt": 1,
"lw": 1,
"lc": 0,
"sa": 850,
"sb": 567,
"st": 0
,
"nt": 0,
"nn": 1,
"pp": 0,
"pb": false
},
"pb": [
{
"ty": 0,
"bf": "01DAAB748090089000000035",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ty": 1,
"bf": "01DAAB748090089000000035",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ty": 2,
"bf": "01DAAB748090089000000035",
"tb": true,
"hi": false,
"fi": false,
"fa": 0,
"ol": 1417,
"or": 1417,
"ot": 1417,
"ob": 1417
}
],
"mp": [ ]
}
,
"01DAAB748090089000000027": {
"cc": 2,
"ci": 1668246628,
"ty": 0,
"la": 0,
"co": 1,
"ss": true,
"sg": 0,
"lt": 0,
"lw": 0,
"lc": 0,
"cs": [ ]
}
},
"bi": [ ],
"bidt": { }
}-->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