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별기고] 청년농업인 육성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

최근 귀농·귀촌인들과 청년농업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지자체에서는 농업인들을 육성하기 위해 많은 프로그램을 운용한다.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농업인들도 늘어나고 있는데, 스마트팜은 확실히 노년층의 농업인들보다 청년농업인 사이에서 관심이 더 커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게다가 지자체에서 무료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육성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니 농업인을 꿈꾸는 청년들에게는 좋은 기회일 수 있다.

최근 통계청의 2020년 농림어업 총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고령농업인은 42.1%의 비중을 차지한 반면 20~30대 농업인은 10.2%에 불과했다. 그래도 점점 많은 젊은이가 농촌으로 향한다. 오늘날 세계적 불황과 기업의 투자 감소와 더불어 코로나19 장기화의 늪 속에서 취업전선에 적색불이 켜지면서 청년들이 농촌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고 청년농업인에 대한 정부의 과감한 투자와 적절한 대책 추진도 영향을 끼쳤다. 농촌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줄고 있지만 청년농업인 인구는 늘고 있어 농업이 제2의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 대목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된다. 바로 청년농업인 육성이 농촌 고령화의 해법뿐만 아니라 청년일자리 부족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년농업인 육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서는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농업협동조합의 청년조합원으로서의 유입 혹은 육성에 대한 전략은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고령조합원 증가 등 향후 전개될 조합원 구성변화(세대교체)에 사전 대비가 절실하다.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이 청년농업인 육성에 있다면, 한 발 더 나아가 인적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협동조합 청년조합원으로서의 유입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청년농업인 육성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것은 바로 농지접근성의 한계다. 농지 가격상승으로 청년농이 농지를 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존 농업인 간 거래 선호 현상으로 연고가 없는 청년농은 거래 자체에 참여하기가 어렵다. 정부가 농지은행을 통해 청년농에게 지원을 하고 있으나 현장의 목소리를 충족하기에 아직 한계가 많다.

그 대응 방안으로 먼저, 청년농업인 상생동아리 활동실적을 평가하고 우수활동 동아리 선정 및 시상과 동시에 청년농업인 사기진작 및 상생동아리 지원사업을 활성화해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 영농 기반과 주거대책 및 영농에 대한 비전도 제시돼야 한다. 농지·시설(하우스 등) 임차료를 지원해 조기 영농 정착을 유도하고, 안정적인 주거대책이 없는 청년창업농에게 농촌 빈집·노후주택 리모델링 또는 농가주택 신축 비용을 지원해 주거복지 실현 및 영농 정착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영농정착률이 저조한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 대상으로 농업선진국 현장실습을 실시하고 농업의 비전 제시 등으로 영농 정착을 조기에 유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농업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농업강국으로 우뚝 서기 위해서는 디지털 농업의 대명사인 스마트 팜 기술을 영농 경험이 부족한 청년농업인들에게 확대 보급하고, 현재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청년농업인 육성 릴레이 응원 캠페인’에 우리 국민 모두가 적극 동참해야 한다.

박상도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