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살벌한 밥상물가' 저녁한끼에 2만668원…1년전보다 25%↑[언박싱]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사는 주부 강모(46)씨는 요즘 식비 지출이 크게 늘었다. 강씨는 “중학생인 두 아들이 집에만 있으면서, 급식도 없이 삼시세끼를 다 먹으니 쌀도 금방 줄어든다”며 “먹는 양이 늘어난데다 쌀값, 계란, 대파까지 안 오른게 없다보니 우리집 엥겔지수가 ‘역대급’이라는 농담이 절로 나온다”고 말했다.

연초부터 각종 식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집밥’ 소비자들이 살벌한 밥상물가를 체감하고 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사상 처음으로 2년 연속 0%대를 기록했지만 국민 식생활에 필수적인 농·축·수산물은 지난달 9.7%나 껑충 뛴 상황이다.

4인 가구 저녁상 비용 1.66만원→2.07만원 ‘껑충’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0.5% 올랐으나 국민 식생활에 필수적인 농·축·수산물은 9.7%나 껑충 뛰었다. 사진은 10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신선식품 판매대. [연합]

14일 본지가 4인 가구의 저녁 한끼를 준비하는 상황을 가정해 봤을 때 실제 비용은 지난해보다 25% 가량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저녁상 메뉴는 된장찌개와 제육볶음, 시금치나물, 계란찜, 감자조림으로 이에 필요한 기본 재료 가격을 계산하니 2만668원이 나왔다. 1년 전 1만6566원에서 크게 뛴 것이다.

밥상물가 가격 비교 품목은 쌀, 삼겹살, 계란, 시금치, 대파, 양파, 감자, 애호박, 고춧가루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 소매 기준 단위가격을 4인 가족 한끼 분량으로 환산해 계산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쌀 가격부터 심상치않다. 쌀 가격은 20㎏ 상(上)품 기준 5만9870원으로 지난해보다 16% 상승했다. 한 대형마트의 양곡 MD(상품기획자)는 “지난해 여름 연이은 장마와 태풍으로 작황은 부진했던 반면, 코로나로 인해 집밥 수요가 크게 늘어 쌀 소비는 이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쌀 도매가는 현재 약 10~20% 가량 상승했고 쌀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추세가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더불어 생활물가가 크게 올라 서민들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 사진은 12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쌀 판매대의 모습. [연합]

쌀 가격 상승이 이어지자 정부도 수급 안정에 나서 농림축산식품부는13일 시장에 공급물량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수확기 산물벼(건조하지 않은 상태의 벼)로 매입한 공공비축미 7만6000t을 245개 산지 유통업체에 인도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고기 반찬이라도 올리려면 또 한번 가격에 놀라게 된다. 소, 돼지는 물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닭과 오리, 계란 가격까지 껑충 뛰었다. 제육볶음을 위해 삼겹살 1근(600g)을 구입하려면 1만2696원이 든다. 지난해 같은기간 가격은 1만98원으로 25.7% 상승했다. 계란은 알을 낳는 산란계 살처분이 늘어나면서 30개 기준(특란/중품) 가격이 이달 들어 6000원대를 돌파한 뒤 6292원까지 올랐다.

또다른 대형마트의 축산 MD는 “삼겹살의 경우 인기 부위로 도매가가 두자리수 이상 올랐고, 한우 역시 도매 시세가 전년 대비 약 9% 정도 올라가고 있다”며 “일반적으로 명절이 다가오면 축산물의 시세가 오르는데 이미 시세가 많이 올라 추후 가늠이 어려울 정도라, 추세를 아직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다”고 전했다.

통계청 기준으로 지난달 농산물은 6.4%, 축산물은 7.3%, 수산물은 6.4% 각각 올랐다. 채소와 과일 등 신선식품도 10%나 올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양파는 지난해 12월말 기준 재고량이 전년보다 9%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 대파도 2020년산 생산량이 전년대비 감소가 전망된다. 이에 올해 양파와 대파 모두 1분기 가격이 평년 대비 강세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식재료 가격 급등에 밀키트·외식이 더 싸지기도
롯데백화점 반찬 전문점 ‘마스터쿡’ 참고사진.[롯데백화점 제공]

집밥 식재료 가격이 다 오르다보니 차라리 밀키트 등 가정간편식(HMR)이나 외식이 더 저렴한 상황도 나온다. 한 밀키트 업체의 서울식 불고기 전골(444.5g)은 9900원으로 미국산 소고기 약 150g과 양파, 대파, 부추 등 비싸진 야채 가격까지 감안하면 따로 다 사서 조리하는 것보다 합리적이다. 서울 동작구 사당동에 사는 주부 박모(42)씨는 “밀키트로 외식하는 기분도 내고, 조리에 들어가는 수고까지 감안하면 가격도 저렴해 애용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돌밥돌밥(돌아서면 밥, 돌아서면 밥)’이 지속되며 반찬도 사먹는 수요가 늘어나 롯데백화점에서 작년 하반기 반찬 매출은 상반기 대비 21% 신장했다.

과일값도 올라 후식으로 사과라도 먹을라치면 식비는 또 한단계 늘어난다. 사과(후지/중품)는 10개 기준으로 13일 2만755원을 기록해 지난해 1만3598원에서 크게 올랐다. 4인가족이 식사 후 후식으로 사과 2개를 먹는다면 지난해 2720원에서 올해 4151원이 든다.

기본적인 반찬을 만드는 가공식품 물가도 줄줄이 인상이 예고돼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두부와 콩나물 가격 인상을 예고한 풀무원에 제동을 걸기도 했다. 물가감시센터 측은 “원재료 가격상승을 핑계로 코로나 팬데믹으로 가계 경제가 어려운 이시기에 또다시 가격인상을 발표하는 것은 장바구니 물가에 부담을 준다”고 비판했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