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상속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함께 준비하는 미래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빠른 기술의 발전 속도를 경험하고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5G에서 더 나아간 새로운 기술이 분초를 다투며 산업계에 등장한다. 새로운 기술의 발전은 파급력도 커서, 산업구조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도 큰 변화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자율주행차의 등장이 자동차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보험, 대중교통 등 연관 산업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기술변화의 가속화에 따라 기존 지식과 역량의 사용 주기는 단축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될 것이며, 분야별 일자리 증감 등에 대응한 신속한 전직 지원도 필요하게 될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역량 전망 2019(Skills Outlook 2019)’에서는 “근로자들이 지속적인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생애 전반에 걸쳐 특정 분야가 아닌 전반적인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더욱 폭넓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의 인력 양성은 어느 수준에 도달해 있는 것일까. 우선, 교육훈련 내용이 산업계 수요와 괴리되고, 직원들의 재교육에 상당 기간이 소요되고 있어 신기술 분야 교육훈련의 품질 혁신이 요구된다는 현장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정부는 산업현장이 원하는 인재 양성에 집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 현장의 목소리를 직업훈련에서 실현하기 위해 지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등 지역·산업 기반 거버넌스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산업구조 변화에 맞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기업·산업계가 훈련 설계부터 실시까지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공동훈련센터에서 협약기업별 직무 분석을 토대로 한 맞춤형 훈련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고, 산업별 협회·단체와 훈련기관이 협력해 훈련 수요조사, 과정설계, 실시까지 수요자 맞춤형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산업현장 수요를 적극 반영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공장 등 신산업·신기술 훈련을 집중 확대한다. 폴리텍의 신산업·신기술 분야 학과를 2017년 4%에서 2022년 25%까지 확대하고, 이와 연계해 신기술분야 특화 과정인 하이테크 과정도 지난해 750명에서 올해 960명으로 확대한다.

신산업·신기술 분야에서의 민간의 훈련규모도 대폭 확대한다. 2017년부터 운영 중인 ‘4차 산업혁명 선도인력 양성사업’은 다양한 민간 기관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훈련 규모도 지난해 1300명에서 올해 2060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그리고 훈련 교·강사에 대한 신기술 분야 교육 지원 및 미래 유망 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등 훈련 인프라도 더욱 내실 있게 보강할 계획이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변화의 흐름에 대응해 신산업·신기술 분야에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그간 신기술 분야 인력 양성이 관계부처에서 분절적으로 운영되면서 부처 간 유사 중복이나 고급 인력 양성 부족 등의 사각지대도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올해 AI, 빅데이터 등 21개 신기술 분야에 대해 기술 수준 및 훈련 수요자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훈련 체계를 만들고, 부처 간 협업 방식의 집중 투자를 통해 체계적으로 신기술 분야 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가 어떠한 양상으로, 또 얼마나 큰 폭으로 전개될지는 아직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IT 강국을 실현한 경험이 있고, 청년층 고등교육 이수율이 OECD 1위인 충분한 인적 자본을 갖고 있다. 인력 양성에 대한 투자는 즉각적이지 않지만 산업혁신과 경제성장을 이끄는 지속 가능한 동력이다.

따라서 신산업·신기술 분야 인력 양성도 지역-산업-정부가 더욱 긴밀하게 논의하면서 체계적으로 추진해나간다면, 우리에게 또 다른 기회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