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역사회 확산, 이번 주가 ‘9부 능선’…정부 가용수단 총동원
경로불명 29번째 환자 감시망 밖 첫 확진
아내도 감염…‘지역사회 감염 현실화’ 우려
원인불명 폐렴 입원환자 전수조사 실시
해외여행력 없는 유증상자 진단검사 등
상시 감시체계 강화 ‘코로나19 봉쇄’ 총력

방역당국의 감시망 밖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으로 발생해 지역사회에 확산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번 주가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 여부를 가를 최대고비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지역사회 전파 저지에 가용수단을 총동원하는 등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17일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해외 여행력도 없고 기존 확진자와의 접촉력도 불분명한 29번째 환자가(82·남)가 선별진료소도 거치지 않고 응급실을 통해 병원으로 들어갔다가 확진되고, 이어 그의 아내가 30번째 확진자가 되면서 지역사회 내 광범위한 감염이 현실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29번 확진자가 선별진료소를 거치지 않고 고대안암병원 응급실로 직행해 4시간 가량 머물러 해당 의료진과 응급실 환자 40여명이 격리에 들어간 가운데 ‘병원 내 감염’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또 서울 종로구에 거주하면서 사흘에 한 번씩 종로3가의 독거노인들에게 도시락 배달 봉사활동을 하고, 평소 동네 경로당 찾거나 동대문구 신설동에 있는 기원에 들러 바둑을 두는 등 사회활동을 활발히 한 편이라 접촉자가 많고 지역사회 전파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원인불명 폐렴 입원환자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해외여행력이 없더라도 의심증상자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진단검사를 시행해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기로 하는 등 상시 감시체계 강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또한 코로나19를 질병관리본부가 상시로 가동하고 있는 호흡기 감염병 감시체계에도 포함하고, 질병관리본부의 병원 기반 중증호흡기 감염병 감시체계(SARI, 현재 13개 병원)와 인플루엔자 실험실 표본감시체계(현재 52개 의원)에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추가했다. 이 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의료기관도 늘려 지역사회 감염을 조기에 찾아낼 방침이다.

정부는 격리·진단검사·자가진단앱 등을 통한 관리도 강화한다. 시·도별 접촉자 격리시설은 872실을 확보했으며, 코로나19 진단검사 하루 가능 물량은 이달 말까지 1만건으로 늘린다. 검체 채취기관은 407곳에서 443곳으로, 검사기관은 46곳에서 8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2일 이상 자가진단앱에 응답하지 않는 중국발 입국자에게는 향후 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발송한다. 혹시 모를 의료기관 내 전파를 막기 위해 중수본은 에어텐트와 이동형 음압기도 지원하기로 했으며, 비용 233억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일본을 ‘오염지역’으로 지정해 검역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일본에서는 전국적으로 환자가 확인되고 있으며,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사례가 누적되면서 지역사회 내 광범위한 전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12일 일본에서 폐렴으로 사망한 80대 여성도 사후에 코로나19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됐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지역사회 전파가 발생하지 않은 게 아니라 아직 전모가 밝혀지지 않은 것”이라며 “일반 독감이나 폐렴 환자로 알려진 사람 중에서도 분명 코로나19 감염자가 더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외여행 이력이 없는 일반 폐렴환자에 대한 검사를 하지 않고서 지역사회 전파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의도적 은폐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대우·정경수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