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스크 칼럼] 긴급 행동이 필요하다

호주 산불이 전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해 9월 시작된 산불이 해를 넘기며 5개월째 이어지면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호주뿐만 아니라 캐나다와 말레이시아 등 연인원 25만명 이상의 인력이 투입돼 산불 진압에 나서고 있지만 불길이 좀처럼 잡히질 않고 있다.

이미 서울시 면적의 166배, 대한민국 영토보다 더 큰 땅이 불탔고 산불 연기는 지구 반 바퀴를 돌아 남미에서 목격될 정도로 퍼졌다. 최소 29명이 사망했고 실종자도 수십명 속출했다. 긴급 대피한 이재민도 10만명을 훌쩍 넘기고 있다.

야생동물 피해도 가늠이 안될 정도다. 특히 캥거루와 코알라 등 유대류의 서식지 파괴로 최악의 경우 멸종 위기까지 생각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미 많게는 10억마리 이상의 야생동물이 사라졌을 거라고 추정하고 있다.

이쯤 되면 한 나라만의 재해가 아니다. 그야말로 전 지구적 재앙이다. 이 재앙을 불러온 원인이 인류 자신이라는 통렬한 비판이 나오고 있다. 누군가의 실화(失火)가 아니더라도 언제든지 광범위한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기후변화가 그 위기의 근원이며, 이를 여태 키우고 방치해 온 인류가 주범이라는 얘기다.

40도를 오르내리는 고온과 장기간 이어지는 가뭄, 낮은 습도는 대형 산불이 발화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다. 전문가들은 산불 빈도가 지난 5년 간 40%나 증가한 호주 외 지구의 다른 곳에서도 얼마든지 이 같은 재앙이 재현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기후변화가 재앙의 원인이라면 더 늦지 않게 대책을 세워야 한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파리협약이 올해부터 시행될 예정이나 작년말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제2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는 ‘긴급행동이 필요하다’는 합의문만 채택한채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하고 폐막했다.

역대 최장 회의시간을 기록하고도 개발도상국-선진국, 잠정 감축분 판매국-구매국 간 입장이 대립되면서 국제탄소시장 이행규칙에 합의하지 못하고 올해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거래금액 일부의 개도국 지원 사용, 2020년 이전 발행된 감축분 인정, 온실가스 감축분 거래 시 이중사용 방지 등 여러 쟁점들도 충돌하면서 아무련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COP25 총회에서 논의가 지지부진하자 “2020년을 세계 모든 국가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이산화탄소의 배출과 흡수를 총합한 순배출량 0)을 달성하고 기온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 아래로 두는데 헌신하는 해로 만들자”고 촉구했다.

이처럼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아무런 결실을 얻지 못하고 폐막한데다 미국이 지난해 11월 파리협정 탈퇴서를 제출해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노력은 큰 위기를 맞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 미국의 기후변화협약 탈퇴가 현실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은 올해 영국 글래스고에서 COP26차 총회를 열어 작년에 이루지 못한 탄소시장 규칙 협상에 나선다.

그러나 자국의 실리만 따지는 상황이라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미래를 위한 지구촌의 걱정이 쌓여간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