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자도 온돌로 난방했다…경복궁 향원정 온돌유구 확인
도넛 형태로 가장자리만 난방
경복궁 후원에 위치한 정자인 향원정은 온돌로 난방을 했음이 밝혀졌다. 사진은 향원정 연도 및 주변 초반 노출 양상. [사진=문화재청]

[헤럴드경제=이한빛 기자] 경복궁 후원 연못 섬에 위치한 정자인 향원정엔 온돌이 깔려 있었음이 확인됐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와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육각형 2층 정자이자 보물 제1761호인 향원정(香遠亭)엔 도넛 형태로 가장자리만 온돌 시설이 갖춰져 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9월 시작한 향원정 발굴조사 결과다.

야외 건축물인 정자는 일반적으로 온돌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데, 향원정은 불을 때는 아궁이가 있어 온돌이 있을 것으로 추정돼 왔다. 그러나 풍동실험(바람을 만들어 보내는 실험)과 연막실험(연기로 공기 흐름을 알아내는 실험)에도 정확한 연도(煙道·연기통로)와 연기 배출구를 확인하지 못해 막연한 추정만 가능했다.

궁능유적본부와 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온돌바닥은 콘크리트로 덥혀 구들장은 발견하지 못했지만, 구들장 아래로 낸 고랑인 고래둑과 불기운을 빨아들이고 연기를 머물게 하려고 온돌 윗목에 깊이 판 고랑인 개자리가 있다.

경복궁 향원정 절병통 현황 [사진=문화재청]

연도는 향원정 기단 아래를 통과해 정자가 있는 섬 동북쪽 호안석축(護岸石築·호숫가에 돌로 쌓은 시설)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소 관계자는 "방은 건물 기단 안쪽으로 기와를 깨서 넓게 펴고 그 위에 석회가 섞인 점토를 다지는 방식을 교차해 기초를 조성했다"며 "기초 바깥으로 방고래와 개자리를 둘렀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남은 연도를 보면 아궁이에서 피운 연기가 별도의 굴뚝으로 나가지 않고 연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빠졌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향원정의 이 같은 온돌 구조는 일반적인 온돌과 비교하면 특이한 것으로 평가된다. 보통은 방바닥 전체에 고래 여러 줄을 놓아 전체를 데우지만, 향원정은 육각형 가장자리로만 연기가 다니게 했다.

향원정은 고종 4년(1867)부터 고종 10년(1873)사이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건축 기록이 없어 온돌을 놓은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아울러 조사단은 정자가 기울어진 원인도 찾았다. 정자를 받치는 6개 기둥 중 동남 방향 주춧돌을 받치는 넓적한 돌인 초반석에서 균열을 발견했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반 지지력이 약해져 건물이 기울고 목재 접합부가 헐거워졌다는 판단에 따라 2017년 해체·보수를 결정했다.

궁능유적본부는 발굴조사 결과를 반영해 구들과 연도를 복원하고, 일부 부재를 교체할 방침이다. 또 옛 사진을 근거로 지붕마루 중심에 세우는 절병통과 외부 난간을 복원하고, 이완된 기단과 석축을 다시 조성할 계획이다.

향원정은 이같은 복원을 통해 내년 7월 일반에 재개방 될 예정이다.

/vi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