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국가 차원의 치매연구, 단기대박보다 중장기 과제여야

정부가 29일 국가치매관리위원회를 열어 치매국가책임제 내실화 방안의 일환으로 내년부터 치매극복 연구개발을 국가적 과제로 진행키로 했다.

지난 4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에는 2020년부터 2028년까지 9년간,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동으로 총 1987억 원이 투입된다.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의 3개 세부사업과 14개 중점기술 분야로 구성되는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은 내년 4월까지 사업단을 설치하고, 연구과제를 공모하여 2020년 하반기부터 과제별 연구가 진행된다.

정부는 연구가 완료되면 치매 무증상 단계에서 조기발견 및 예방치료를 통해 치매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정대로 된다면 이보다 좋을 수는 없다. 하지만 치매관련 치료제 개발이 쉽지 않다는 것은 이미 전세계적으로 주지의 사실이다. 지금까지 선진국 바이오 산업계는 치매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에 엄청난 자금과 시간을 투입해 왔지만 눈에 띄는 성과를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 “치매의 완치는 불가능하다”면서 “신약 개발에서 철수하겠다”고 발표한 다국적 제약기업이 나올 정도다.

심지어 프랑스는 치매 치료제에 대해 지난해 8월 보험 급여 중지를 결정했다. 효과가 미미하고 일시적인데다 다른 약들과의 상호작용이 너무 많아 위험할 수 있다는 이유다. 실제 고령의 치매 환자들은 대부분 심장 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에대한 약들을 이미 복용한다. 치매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주사 한 방, 알약 하나는 아직 멀고 먼 나라 얘기인 셈이다.

그럼에도 어렵다고 포기할 수는 없다. 인류 최악의 질병을 놓고 그리 해서도 안된다. 게다가 실마리가 풀릴 기미도 보인다.

최근 단백질(아밀로이드-베타)이 에너지로 사용된 후 찌꺼기로 남는 이유가 미세혈관의 파괴로 체외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이란 사실이 밝혀졌다. 치매 발병의 메카니즘이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때문에 치매 치료 신약개발의 방향도 파괴된 미세 혈관의 세포막의 재생을 촉진하는데 맞춰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치매가 뇌의 문제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학설에서 탈피해 혈액내의 특정 물질 때문이라는 혁신적인 주장이 나오고 있다.

치매 대국을 눈앞에 두고 치매 치료제를 국가적 과제로 개발하는 것은 마땅하고 바람직한 일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의 보고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단기대박에 대한 기대감은 금물이다. 자칫 황우석 사태가 재연되어서는 안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