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사모펀드 리스크 관리 중요성 일깨운 라임자산 사태

국내 사모펀드의 대표 주자인 라임자산운용이 8일 또 다시 환매중단을 발표했다. 펀드 상품은 다르지만 이달초에 이어 두번째다. 환매중단은 자산운용사가 고객의 요구에 내 줄 돈이 없다는 의미다. 라임측은 연기일 뿐이라지만 현시점에서 유동성 부족이기는 마찬가지다. 사모펀드 수탁액 1위의 금융사 입장에선 신뢰에 엄청난 타격이다.

사실 사모펀드의 문제점이 드러난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JB자산운용의 호주 부동산 투자 사모펀드 계약위반, 독일 부동산 사모 파생결합증권(DLS) 환매 연기, 독일 국채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 등 최근 사모펀드에서 잇달아 문제가 발생했다.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에 비해 투자대상이나 전략상 제약이 덜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이유로 최근 3~4년간 엄청나게 몸집을 불려왔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커진 몸집에 비해 리스크 관리가 소홀했다.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과감하고 다양한 투자전략을 활용했지만 무리를 범한 것이다. 현지 실사도 하지않고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인허가도 받지 않은 해외 개발 사업에 잘못 투자하는 부실운용은 물론 각종 편법과 심지어 자산운용의 기본인 만기도 맞춰놓지 않은 사례까지 드러났다.

이러니 사모펀드 성장세에 급브레이크가 걸린 것은 당연한 일이다. 뭔가 이상한 낌새를 느낀 투자자들이 손실 우려에 잇달아 환매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한 때 5조8000억원을 넘던 라임자산운용의 설정액은 근 한달 내리 자금유출이 일어나며 5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업계 전체의 설정액 증가속도도 현저히 둔화됐다. 올들어 매달 10조원 가까이 늘어나던 설정액이 이달 들어선 3조5000억원에 불과해 400조원의 문턱에서 멈췄다. 당분간 종전 수준을 회복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사태가 여기에 이른데는 금융당국의 책임도 없지 않다. 금융당국이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이유로 사모펀드의 등록요건을 완화하고 투자 문턱을 낮추는 등 관련 규제를 풀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입장이 난처해졌다고 방향을 바꿔서는 안된다. 금융상품 다양성과 산업지원의 역할을 위한 사모펀드 활성화의 방침은 유지되어야 한다.

결국 문제는 리스크 관리다. 감독당국은 “규제를 풀어준만큼 감독도 강화했어야 한다”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운용사, 투자자 등 시장 참여자들의 책임감과 준법정신이 필요하다”고 외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된다.

사전에 조심하도록 만드는 금융당국의 사후관리 능력이 금융은 물론 산업 활성화의 근간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