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U 환경규제 강화에 흔들리는 독일차…한국은?
- 독일 완성차 업체 디젤스캔들 후폭풍
- 규제 강화에 개발비 압박 등 ‘오중고’
- 전세계 친환경차 경쟁시대 원년으로
- “지방ㆍ중앙정부 정책 지원 일원화를”

세계 최대 가전ㆍIT 박람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19’가 열린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내 바이튼 전시관에 세단형 전기차 ‘K바이트’ 콘셉트카가 전시돼 있다.[연합뉴스]
아우디가 CES에서 공개한 4인승 순수전기차 아이콘(Aicon) 콘셉트카[연합뉴스]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EU가 자동차 이산화탄소(CO₂) 배출 규제 강화에 나서면서 2019년 전 세계 완성차 업계의 큰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디젤스캔들 이후 폴크스바겐ㆍ다임러ㆍBMW 등 독일 업체들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자동차 개발 압력은 한국 완성차 업계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2일 코트라의 해외시장 동향에 따르면 독일 완성차 기업들은 지난 2015년 9월 불거진 디젤스캔들 후속 여파와 기후 보호 차원의 EU 규제를 위한 개발 비용 등 5중고에 직면했다.

앞서 폴크스바겐ㆍ다임러ㆍBMW 등 독일 3대 완성차 기업엔 디젤스캔들에 따른 리콜 명령과 벌금이 부과됐다. 프랑크푸르트 등 일부 도심에선 노후 디젤 차량의 운행도 금지됐다.

EU가 2017년 9월 1일 도입한 자동차 연비 통합 테스트 시스템(WLTP)은 작년 9월 1일부터 신차에 적용됐다. 인증에 따른 생산 둔화는 독일 경제 침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 인증 대비 2~3배의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탓이다.

2017년 9월 1일 신규 차량에 적용된 배기가스 테스트(RDEㆍEuro 6d-TEMP)는 올해 9월부터 모든 신차에 적용된다. 하반기 유럽의 완성차 수출시장에 또 다른 진입장벽이 생기는 셈이다.


전기ㆍ수소자동차 등 친환경차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독일 자동차산업협회(VDA)에 따르면 2020년까지 전기자동차 개발에만 400억 유로가 투입될 전망이다. 여기에 유럽의 자동차 업체들은 2030년까지 2021년 대비 37.5%에 달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해야 한다.

자동차 시장의 지각변동은 필연적이다. 완성차 업체들이 올해를 전기자동차 경쟁의 원년이 될 것으로 보는 이유다. 차량의 경량화는 물론 모터 성능 개선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기술 등이 시장 선점의 열쇠다.

후폭풍의 영향권은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전 세계 완성차업체의 전기자동차 생산량이 올해를 기점으로 눈에 띄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다. 실제 아우디와 메르세데스 벤츠는 올해 전기차 생산량을 전년대비 각각 10배, 15배로 설정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경쟁력은 R&D 부문이다.

규모는 작지만 일찍부터 준비한 시장 변화를 대비한 예열을 마친 상태다. 관련 법규가 이른 시점에 추진된 점도 세계적인 추세에 발을 맞추는데 도움이 됐다.

보조금과 온실가스 배출 규제 목표에 치우친 반쪽짜리 정책은 과제로 꼽힌다. 성능 향상을 위한 부품소재산업에 지원이 이뤄지고 있지만 규모는 여전히 부족하다. 다양한 친환경자동차 정책의 연계가 절실한 이유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웹저널을 통해 “친환경차 정책은 전체적인 환경 개선 부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자동차 환경 규제와 보급지원 정책, 개발 지원 등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혼재된 역할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