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현대차 수소투자, 정부·기업간 모범적 화답 사례돼야
현대차그룹이 11일 발표한 수소ㆍ수소전기차 중장기 계획 ‘FCEV 비전 2030’은 실로 모처럼만에 나타난 대규모 국책사업의 정부ㆍ기업간 모범적 화답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난 6월 정부 주도의 수소전기차 관련 로드맵이 발표된 이후 몇 개월만에 생산을 담당하는 완성차 업체와 부품 협력업체가 동시에 구체적인 비전까지 밝힌 것이다. 사전에 충분한 협의가 이뤄졌고 만족할만한 청사진이 만들어졌다는 얘기다.

실제로 청사진은 구체적이고 즉시 실행형이다. 현대차그룹은 협력사와 함께 2030년 국내서 연간 기준으로 승용과 상용을 포함해 수소전기차 50만대 생산체제 구축에 나선다. 이를 위해 120개 이상의 주요 부품 협력사와 2030년까지 연구·개발(R&D)과 설비 확대에 모두 7조6000억원을 신규 투입할 계획이다. 이에따른 경제효과는 대략 25조원에 달하고 직접고용 5만1000명을 포함한 취업유발 효과는 22만명에 이를 것이라는게 현대차그룹의 추산이다.

현대차그룹은 계획 발표와 함께 충주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제2공장의 신축에 들어갔다. 현재 연간 3000대 규모의 생산능력은 2022년 4만대까지로 늘어난다. 정부도 내년에는 보급 및 인프라 예산을 크게 늘려 수소전기차 4000대에 정부보조금이 지급되고, 수소충전소도 450억원을 들여 30개를 짓는 한편 2022년까지 전국 310곳으로 확충해나가기로 했다.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핵심 부품의 성능ㆍ기술 개발 지원도 확대된다.

친환경이 화두인 현대사회에서 수소 산업은 이미 거대한 흐름이 되고 있다. 우리는 2005년부터 수소경제 마스터플랜을 기획했지만 기술력의 한계와 정권교체 등 다양한 이유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현대차는 2013년 세계 최초의 수소전기 상용차를 내놓고도 대중화는 아직 걸음마 수준에 머물고 있다.

한국은 발이 묶이고 일본과 미국 독일 등은 저만치 앞서나가는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가 지난 6월 ‘산업혁신 2030 로드맵’을 통해 수소사회 구현의 재가동에 나섰고 현대차가 적극적으로 화답한 것이다. 반도체와 석유화학,조선 등 한국 경제를 이끌어 온 주력산업은 모두 기업의 투자와 정부의 지원이 효율적으로 이뤄질때 성장했다. 수소 산업은 정부와 기업간 좋은 호흡을 보여주는 사례다.

자동차 산업의 ‘패스트 팔로어(신기술을 빨리 따라잡는 자)’에서 수소차 만큼은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되겠다는 현대차그룹 정의선 부회장의 의지는 그래서 희망을 불러온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