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김용락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 글로벌 문화상생·다양성 확대 위한 한류 정책
한류는 국민에게 자긍심과 기쁨을 불어넣어 주는 동시에, 한국 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을 세계 수준으로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덕분에 문화콘텐츠 산업은 지속적으로 규모가 커져 세계 7위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한류의 파급력은 비단 대중문화 뿐만 아니라 음식, 패션, 뷰티, 관광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됐다. 한류가 국가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동력이 된 것이다.

한류가 국내 문화 및 소비재 상품의 수출에 기여하는 역할이 큰 만큼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한류 진흥 정책을 추진해왔다. 2017년 기준, 한류의 생산유발효과는 약 18조이며, 취업유발효과는 13만 명에 달한다.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의 문화강국들이 한국의 문화정책에 관심을 두는 이유다.

그러나 앞으로가 문제다. 그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한류가 이제 우리만의 전유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디지털 환경이 고도화되면서 한국콘텐츠의 유통이 용이해졌고, 글로벌 기업들은 잠재 수요가 큰 한류 콘텐츠를 단지 활용하는 것을 넘어 직접 만들고 유통한다. 이들이 한국콘텐츠를 유통하며 고객을 모으고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지만, 정작 이들은 한국 사업자가 아니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버는 격이다.

정부의 정책 기조가 바뀌어야 하는 지점이 여기에 있다. 그간 한류 확산을 위한 정부 정책은 창·제작을 지원하고, 이들에게 마켓 참가나 컨설팅 등을 주로 지원해왔다. 즉 우리 콘텐츠의 일방향적 해외 진출이다.

이제 정부는 한류의 개념을 우리 상품의 일방향적 진출이 아닌 상대국 문화와 융화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내는 상생과 문화 다양성의 개념으로 확장해야 한다. 한류의 상업화가 가져오는 혐한류와 같은 부작용을 상쇄하고, 오히려 산업적으로 서로 더 발전할 수 있는 건전한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선결 과제는 문화교류의 활성화다. 상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연구, 교류 네트워킹, 공동 창·제작 기회를 정부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는 쌍방향 문화교류 및 착한한류 실현으로 세계 속 한류 확산을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했다. 또한, 대중, 예술, 전통 등 문화 전 분야에 걸쳐 국제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국제문화교류진흥법’을 2017년 발의, 입법화했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의 국제문화교류는 기초단계다. 문화 분야별로 국제교류 사업이 산발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교류보다는 진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교류 대상국 및 장르 편중, 대표 창구의 부재가 발생하는 이유다.

이 때문에 국제문화교류 전담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분야의 교류사업을 해외 국가 및 기관과 중재하고, 컨설팅하여 국제문화교류 정책의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유관기관 간 역할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조정이 이뤄진다면, 국제문화교류 진흥법을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생길 것이다. 국제문화교류를 통한 전 세계와의 융화, 그리고 상생을 기반으로 한 한류의 확산과 발전이라는 비전이 단지 희망으로만 남게 되지 않기를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