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스마트공장, 기업에 ‘유망투자’란 확신 줘야”
-중기硏 ‘한·독 정책비교’…“모듈형 제품 확대 비용부담 경감도 필요”

[헤럴드경제=조문술 기자] 스마트공장 도입이 국가적으로 추진되는 가운데서도 기업들은 과연 그 투자가 미래에 의미 있는 자산이 될지 의아해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혹시나 향후 산업내 확장성이 없어 ‘매몰비용’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

따라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이 실효성을 가지려면 기업들에 구축비용 및 효과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해 투자의 불확실성부터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연구원은 19일 ‘한·독(韓·獨) 스마트팩토리 정책 비교 및 시사점’이란 자료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독일은 스마트기술의 산업현장 적용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4.0(Mittelstand4.0)’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3개의 ‘중소기업4.0-역량센터’를 구축해 컨설팅 및 기술이전을 추진 중이다.

우리 정부도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을 목표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중소기업들은 스마트공장 구축의 필요성은 잘 알고 있으면서도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어떤 시스템을, 어떻게, 어느 수준으로 도입할지 몰라 불안감도 높다.

아직 국제표준이 정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의 투자가 향후 확장성이 없을 경우 매몰비용으로 전락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큰 탓이다.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이 실효성을 높이려면 무엇보다 정보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구축비용 및 효과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게 중기연의 분석이다. 이를 통해 투자의 불확실성을 해소, 수요기업이 스스로 수준에 맞는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는 안목을 갖게 해야 한다는 것.

세부 추진책으로 ▷관련 연구소 및 기업을 중심으로 지역별 컨설팅센터 운영 ▷모범사례 및 업종별 학습형 스마트공장 확대 ▷모듈형제품 보급 확대로 스마트공장 투자부담 경감 ▷중소업체들이 모듈형태로 플랫폼에 참여, 기술향상 유도 ▷전문인력 확충 등이 필요하다고 연구원 측은 밝혔다.

중기연 김광희 수석연구위원은 “수요기업 중심의 시책은 현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촉진, 수요-공급간의 괴리를 없앨 수 있다. 공급업체간의 경쟁을 유발해 시장을 통한 공급산업의 경쟁력 제고효과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