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라이프 칼럼-박인호 전원 칼럼니스트]‘농촌의 大計’ 무색한 귀농·귀촌교육
각종 작물의 모종을 심느라 바쁜 5월 초순, 때 마침 비(6일)가 내리기에 일손을 놓고 컴퓨터 앞에 앉았다. 그리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에서 운영하는 온라인교육망 ‘농업인력(교육)포털’에 들어가 몇몇 귀농ㆍ귀촌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정원은 상당한 예산을 들여 귀농ㆍ귀촌 교육체계를 개편, 2018년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온라인교육 또한 콘텐츠 확충 및 업데이트를 실시했다. 하지만 기대만큼 실망도 컸다. 인용한 관련 통계에서는 여전히 몇 년 전의 해묵은 자료가 눈에 띄었다. 또 ‘귀촌’을 ‘귀농’이라고 잘못 표기하고 강사가 이를 그대로 설명하는 오류도 발견되었다. 강의 내용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일부 오해 소지가 있는 내용도 있다. 예컨대 “귀농ㆍ귀촌인들이 돈을 더 얹어주면서까지 시골 땅을 사들여 땅값을 올렸다”는 식의 설명이다. 물론 일부 그런 사례가 없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요즘 가격도 따지지 않고 땅부터 덥석 사는 이들은 거의 없다.

시골 땅값 상승은 투자목적의 외지인 비율이 높은 땅 소유구조, 지역개발 호재, 그리고 실제 땅 거래과정에서의 중개료 폭리 등이 주된 원인임을 놓치고 있다. 어찌 보면 귀농ㆍ귀촌인 대부분은 되레 바가지를 쓴 피해자일 수 있다.

또 다른 사례 하나. “귀농ㆍ귀촌인들이 땅을 산 뒤 측량부터 실시해서 기존 주민들과 갈등을 빚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내가 사려는 땅의 범위가 정확하게 어디까지인지 파악한 뒤 매입하는 게 올바른 순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나중에 더욱 복잡하고 심각한 갈등과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오프라인교육은 어떨까?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정원은 2018년부터 민간공모 위탁교육 등 오프라인교육의 체계와 내용도 확 바꿨다. 매뉴얼ㆍ표준화를 통한 교육의 체계화 및 질 제고를 위해서다. 하지만 기존 교육에 비해 지나치게 아카데믹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농업ㆍ농촌, 귀농ㆍ귀촌의 현실에 기초한 현장감과 다양성의 반영이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한 농촌 전문가는 “이미 그런 아카데믹한 교육은 농고ㆍ농대에서 이뤄져왔다. 하지만 졸업 후에 농촌으로 돌아와 농업에 종사하는 이가 과연 얼마나 되는가? 인생2막 또는 3막의 귀농ㆍ귀촌교육에 유사한 틀을 적용해본들 어떤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지역적 특성과 농업환경, 교육기관의 전문분야가 각기 다른데 똑같은 과목을 교육하라는 것은 너무 획일적”이라고 꼬집었다.

2030(청년 창업농), 4050(전직 창업농), 60이상(은퇴 창업농) 등 귀농교육과정의 연령대별 구분에 대해서도 농촌의 현실과 동떨어져있고, 교육생 모집에도 어려움이 많다는 지적이다. 실제 2017년 농가 경영주의 연령분포를 보면 2030세대는 전체 0.9%에 불과하고 40대를 포함해도 전체 6.6%에 그친다. 빠르게 늙어가는 농촌에서 40대는 청년이자 핵심 인력인데 이를 간과하고 있다.

교육은 국가의 백년대계(百年大計)다. 귀농ㆍ귀촌교육 또한 농촌의 대계여야 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새로 개편된 귀농ㆍ귀촌교육체계에서도 여전히 졸속과 부실의 흔적이 발견된다. 서둘러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